경남도·합천군·창녕군에 공문 보내…사업 진척없이 공전할 듯 환경부가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이하 물 공급 사업)'과 관련한 올해 예산을 집행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혀 이 사업이 별다른 진척 없이 공전할 것으로 보인다. 경남도는 최근 환경부가 도, 합천군, 창녕군에 '2023년도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기본 및 실시설계비 집행계획 알림'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보내왔다고 1일 밝혔다. 이 공문에는 "2023년 예산 국회 심의과정에서 환경부 예산으로 반영된 물 공급사업의 기본 및 실시설계비 19억2천만원에 대해 지역주민들이 '정부의 사업 강행'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어 "기본 및 실시설계는 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수립이 완료된 이후에 진행해야 하며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수립을 위해서는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관계 지자체 등과 협의를 거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역주민 동의가 전제돼야만 기본 및 실시설계비를 집행할 수 있으므로 지역주민 동의가 없으면 올해 예산은 집행될 수 없다"고 알려왔다. 이러한 환경부 입장에 따라 물 공급사업 강행을 우려한 합천·창녕군 주민들의 반발이 소강 국면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경남도는 취수지역 주민들의 민원 중 수용할 부분은 수용하고, 설득할 부분은 설득해서 물 공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방침이다. 앞서 합천군 황강 복류수(지하수·45만t)와 창녕군 강변여과수(45만t)를 개발해 경남(48만t 우선 배분)·부산지역(42만t)에 공급하는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을 담은 물 공급사업이 지난해 6월 정부 사업으로 확정했다. 경남도는 이 사업이 먼저 취수지역 주민 동의가 전제돼야 하고, 취수지역 주민 피해가 없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24일 국회에서 의결된 2023년도 환경부 예산안에 물 공급사업 실시설계비가 부산시 건의로 일부 반영(19억2천만원)되자 합천과 창녕 등 취수지역 주민들은 "환경부가 지역주민을 기만한다"며 삭발식을 하는 등 강하게 반발했다. /연합뉴스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경북통합신공항특별법 제정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국회 국토위 법안 심사 소위 위원장이자 부산 출신인 민주당 최인호 의원을 공개 비판하고 나섰다. 홍 시장은 1일 자신의 SNS(페이스북)에서 "TK(대구경북)공항법을 막겠다고 스스로 공언한 최 의원은 스스로 고백하듯이 이 법의 이해관계인이 아니냐"고 밝혔다. 그러면서 "마치 가덕도 공항과 대구 신공항이 경쟁 관계이므로 이를 막겠다는 그 발상 자체가 괴이하기도 하지만 국회법상 제척 조항도 있는데 이해관계인이 나서서 TK신공항법을 나 홀로 막겠다고 공언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지금 국회에서 벌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상 참 비정상적으로 이상하게 돌아가네"라면서 "부산공항과 대구공항은 수도권 1극 체제를 막는 지방연대이지 경쟁 관계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앞서 최 의원은 김두관, 김정호, 전재수 등 더불어민주당 부산·울산·경남 지역 국회의원들과 함께 지난달 31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구경북통합신공항특별법안에 특혜 조항이 많다며 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지 않으면 법안 통과를 저지할 것이라며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 /연합뉴스
전북 익산시는 어르신들의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위해 올해 1만1천여 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고 1일 밝혔다. 사업비 428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에는 총 1만1천91명이 참여하며, 사업은 익산시 노인종합복지관 등 17개 기관에서 위탁 수행한다. 작년보다 사업비는 31억원, 참여자는 422명이 각각 늘었다. 올해는 공익형(72개), 사회 서비스형(55개), 시장형(16개), 취업 알선형(2개) 등 145개 사업으로 이달부터 12월까지 진행된다. 사업유형별 인원은 공익형이 9천179명, 사회 서비스형이 1천395명, 시장형과 취업 알선형 은 각각 440명이다. 공익형은 월 30시간 활동 시 27만원을, 사회 서비스형은 월 60시간 활동에 70만원을 받는다. 나머지는 일하는 시간에 따라 활동비가 차등 지급된다. 시 관계자는 "노인 일자리 사업은 노년기 소득에 보탬이 될 뿐만 아니라 우울감 해소 및 의료비 절감 등의 사회적인 효과가 크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일자리를 발굴하는 등 사업 내실화를 꾀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