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용 국민의힘 의원(경기 안성·사진)은 밑바닥부터 성장해온 정치인이다. 서울올림픽이 열렸던 1988년 이해구 당시 의원의 비서관으로 처음 정치권에 발을 들였다. 이어 경기도의원에 세 차례 당선됐다. 18대 총선에서 처음 국회의원 배지를 단 뒤 지난해 3월 재·보궐선거에서 승리해 4선에 성공했다. 비서관부터 도의원, 국회의원까지 정치 경력을 모두 더하면 35년에 달한다.그런 그가 오는 7일 치러지는 국민의힘 원내대표 선거에 도전장을 냈다. 2018년 12월 나경원 전 의원에게 고배를 마신 지 4년4개월 만이다. 김 의원은 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밑바닥에서부터 정치를 해왔기 때문에 원내대표로서 어떻게 의원들을 도와야 하는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28세부터 국회에 있으면서 가져온 생각을 정치 현장에 녹여내고 싶다”며 “국민으로부터 멀리 가 있는 정치를 조금이라도 국민에게 가까이 오게 하겠다”고 출마 포부를 밝혔다.김 의원은 차기 총선 공천과 관련해 “선거 때마다 멀쩡한 국회의원을 교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문제가 있거나 능력이 없는 사람은 도태되는 게 맞지만 잘하는 사람을 ‘몇 퍼센트 교체 목표’에 맞춰 무조건 날리는 것은 옳지 않다는 설명이다. 그는 “우리 정치는 물은 놔두고 물고기만 바꿔왔는데 그렇다고 정치가 나아지지 않았다”며 “오히려 초·재선 의원을 자꾸 바꾸다 보니 의원들이 소신껏 일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정책통 외교통 등 전문 선수를 길러야 한다”고 강조했다.김 의원은 “김기현 대표가 2012년 원내수석을 할 때 나
양곡법 거부권엔 "어느 정도 여론 수렴…적절한 시일 내 처리"한일정상회담 국조 野요구엔 "그런 전례 있었나"대통령실은 오는 3일 제주에서 거행되는 '4·3희생자 추념식'과 관련, "한덕수 총리가 내놓는 메시지가 윤석열 정부의 메시지"라고 2일 밝혔다.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취재진과 만나 '윤 대통령의 4·3추념식 불참'에 대한 지적이 있다는 취재진 질문에 "한 총리가 참석하고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도 참석한다"며 이같이 답변했다.그러면서 "지난해 대통령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했고, 같은 행사에 매년 가는 것에 대해 적절한지 고민이 있다"며 "올해는 총리가 가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부연했다.오는 4일 국무회의에서 양곡관리법 개정안 재의요구권(거부권)이 행사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선 "두 주무부처 장관과 총리도 입장 밝혔고 농민단체 30곳 이상이 입장을 밝혔기에 여론 수렴은 어느 정도 됐다고 본다"며 "어느 정도 여론이 모아졌다면 적절한 시일 내에 처리하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민주당의 한일정상회담 국정조사 요구에 대해선 "그런 국정조사가 있는지 전례를 잘 살펴보시기 바란다"며 사실상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다.더불어민주당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 저지 대응단' 소속 일부 의원들이 일본 원전현장 시찰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선 "야당 분들이 후쿠시마 수산물을 절대 수입할 수 없다는 정부 입장을 일본 측에 잘 전달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연합뉴스
국민의힘 민생특별위원회는 위원회 명칭을 '민생119'로 정하고 오는 3일 첫 회의를 연다고 2일 밝혔다. 특위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특위 명칭이 '민생119'로 결정됐다"며 "긴급한 민생 현안에 대해 119처럼 어디든지 신속하게 현장으로 달려가 해결책을 찾는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특위는 3일 오전 김기현 대표 주재로 국회에서 첫 회의를 열고 지난달 임명된 14명의 특위 위원에 대한 임명장 수여식을 한다. 이어지는 회의에서는 구체적인 활동 범위와 방향, 민생 현장 방문 등에 대한 위원들의 의견을 취합할 예정이다. 한 특위 위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정치적 의미가 있는 활동보다는 미시적인 민생 문제에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는 활동에 주안점을 둘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위는 첫 회의 후 함께 편의점 도시락으로 오찬을 한다. 특위 측은 "물가 상승 탓에 직장인, 학생 등 소비자들이 편의점 도시락을 찾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특위는 "민생119는 민생과 관련한 아주 작은 부분까지 세심하게 살피며 실천 방안을 내놓는 것에 초점을 맞춰 입법·제도적 조치가 이어질 수 있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장 간담회와 민생 인물 찾기, 전문가 의견 청취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민생119는 김기현 대표 체제에서 출범한 첫 당내 특별위원회다. 김 대표는 지난달 취임 후 민생에 가장 역점을 두겠다고 강조해왔다. 위원장은 조수진 최고위원이 맡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