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억 이상 자산가 제외 수치…민주당은 평균 18억4천만원安, 700억원 줄고도 1천347억원…이어 전봉민·박덕흠·박정 순 국회의원 1인당 평균 재산이 가장 많은 정당은 국민의힘으로 나타났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31일 공개한 지난해 말 기준 국회의원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500억원 이상 자산가를 제외한 국민의힘 의원의 평균 재산은 35억9천764만1천원으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이 18억3천967만3천원으로 2위였다. 이어 시대전환(12억4천665만9천원), 정의당(8억790만3천원), 기본소득당(5억3천414만4천원) 순이었다. 무소속 의원 7명의 1인당 평균 재산은 42억5천314만9천원이었다. 500억원 이상의 자산가는 안철수(1천347억960만4천원)·전봉민(559억1천677만2천원)·박덕흠(526억1천714만4천원·이상 국민의힘), 박정(505억9천850만8천원·민주당) 의원 등 4명이다. 안 의원 등 '500억원 이상 클럽'을 집계에 포함할 경우 정당별 평균 재산은 국민의힘이 56억7천309만2천원, 민주당이 21억2천818만7천원으로 오른다. 이들을 제외한 고액 자산가를 보면 국민의힘에서는 윤상현(299억1천440만9천원)·백종헌(297억3천191만원)·한무경(209억189만5천원)·정우택(143억1천420만4천원)·강기윤(124억4천181만4천원) 의원 등이 100억원 이상을 소유했다. 민주당에서는 박정 의원에 이어 홍익표(82억8천203만원)·박병석(66억7천23만1천원) 의원 등의 순으로 재산이 많았다. 민주당을 탈당한 무소속 양정숙 의원의 재산은 101억1천935만3천원으로 전체 의원 중 10위였다. 정의당에서는 심상정 의원이 17억8천546만6천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국민의힘 한무경 의원이 지난 한 해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나 신고액이 70억3천531만3천원 증가했다.
강남3구 다주택자 '2채' 양정숙 유일…주택 외 상가 등 보유자 70명 21대 국회의원 가운데 집을 두 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는 작년과 같은 40명으로 집계됐다. 서울 강남구·서초구·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 3구'에 주택을 한 채 이상 보유한 국회의원은 47명으로, 역시 작년과 같았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31일 공개한 2022년 말 기준 국회의원 재산 변동사항에 따르면 국회의원 296명 중 다주택자(본인·배우자 명의 기준)는 40명으로, 전체의 13.5%였다.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29명, 더불어민주당 8명, 정의당 1명, 무소속 2명 등이었다. 최다 주택 보유자는 총 4채를 보유한 민주당 김성환 의원이었다. 이헌승·이주환·장동혁·윤주경(이상 국민의힘), 이상민(민주당), 양정숙(무소속) 의원은 총 3채를 보유했다. 김성환 의원의 경우 전남 여수시 삼산면 단독주택 2채(일부 지분)와 전남 여수시의 아파트 1채(일부 지분)를 상속받았고, 서울 노원구 소재 아파트 분양권(배우자)을 신고했다. 김 의원의 단독주택 및 아파트 분양권은 약 5억3천만원이다. 이헌승 의원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 1채 분양권과 부산 진구 아파트 2채를 보유했다. 이들 3채의 현재 가액은 21억원에 달했다. 이주환 의원은 약 31억원에 달하는 서울 마포구 아파트 1채와 부산 연제구 아파트 1채, 부산 진구 복합건물(주택+상가) 1채 등 3채를 신고했다. 장동혁 의원은 서울 구로구 아파트 1채, 충남 보령시 단독주택 1채, 충남 보령시 아파트 1채 등을 보유했다. 이들 3채는 약 6억7천만원이다. 윤주경 의원은 서울 동작구 아파트 1채, 강원도 평창군 단독주택 1채, 경기 성남시 분당구 복합건물(주택+상가) 1채 등 총 3채를 갖고 있었다. 다 합
내달 부산엑스포 실사단 방문 앞두고 정부·기업 홍보전 '총력'광화문광장 3개 구역으로 나눠 조형물·홍보부스 마련 2030 부산세계박람회(부산엑스포) 유치를 기원하는 '광화에서 빛; 나이다' 점등식 행사가 30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렸다. 이 행사는 다음 달 진행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의 부산 방문을 앞두고 한국 국민의 엑스포 유치 열망을 국내외에 알리고자 기획됐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행사에 참석해 "실사단 한국 방문을 앞두고 국민들의 적극적인 응원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날 점등식에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안병윤 부산시 행정부시장 등도 참석했다. 정부, 부산시, 민간유치위원회 기업들은 이날부터 다음 달 3일까지 광화문광장에서 부산엑스포와 연관된 전시와 행사를 선보인다. 광화문광장은 박람회의 역사·의미·미래 3개 테마로 구역을 나눠 조형물과 각종 홍보 부스가 설치됐다. 박람회의 역사를 보여주는 '타임 투 엑스포'(Time to EXPO) 구역에서는 에펠탑, 자유의 여신상 등 역대 개최국의 랜드마크와 전화기, 축음기, 비행기 등 발명품을 불빛 조형물 형태로 제작해 전시한다. LED 플라워, 부기캐릭터, 스노우볼을 설치해 포토스팟(사진촬영장소)도 마련했다. '필 투 엑스포'(Feel to EXPO) 구역은 국내 기업들이 운영하는 홍보 체험 부스로 구성됐다. 현대차·기아는 전기차 EV9을 전시하고, SK는 친환경 클린에너지 체험관을 운영하며 삼성전자는 갤럭시 신제품 체험 스튜디오를 마련했다. 롯데는 마칭밴드 공연을, 신세계는 스타벅스 텀블러와 커피 나눔 행사를 한다. 박람회의 미래를 제시하는 '바이브 위드 엑스포'(Vibe with EXPO) 구역에서는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