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본부가 29일 북한 무인기 도발 상황을 상정해 경기도 양평군 가납리 일대에서 지상작전사령부와 각 군단, 공군작전사령부, 육군항공사령부 등이 참가한 가운데 적 소형무인기 대응 및 격멸훈련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가 29일 북한 무인기 도발 상황을 상정해 경기도 양평군 가납리 일대에서 지상작전사령부와 각 군단, 공군작전사령부, 육군항공사령부 등이 참가한 가운데 적 소형무인기 대응 및 격멸훈련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북한의 소형 무인기 대응 체계 구축과 관련해 군 당국은 오래전부터 추진해왔으나 이번 사태를 계기로 더욱 증강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군 관계자는 3일 일각에서 드론봇 전투단 신설과 드론 테러 방어용 레이더(SSR) 도입을 완료한 문재인 정부 때 드론 대응 체계를 대폭 강화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그전 시기부터 추진해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북한 무인기 침범 당시 이를 가장 먼저 포착한 국지방공레이더는 노무현 정부 시기 소요가 신규로 결정됐고, 이명박 정부 때 중기 소요로 전환됐다. 이후 체계 개발 과정을 거쳐 2020년부터 양산 및 배치가 진행되고 있다.

서울 상공에 진입한 무인기는 SSR 레이더가 탐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SSR 레이더는 박근혜 정부 시기 소요가 결정되고 2014~2019년에 걸쳐 도입이 이뤄졌다. 무인기 형상을 추적한 열상감시장비(TOD)는 2000년대 초반 3차 사업의 소요결정이 이뤄져 2012년부터 양산 개시, 지난해 도입을 마무리한 장비다.

드론 운용 부대는 문재인 정부 때인 2018년 드론봇 전투단이 생겼으나 연구 조직 성격에 소규모였다. 이번 무인기 사태 이후 윤석열 정부가 새 부대 창설을 예고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우리 군은 안보 상황 및 위협 변화를 고려해 전력 증강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소형 무인기 대응 전력도 계획에 따라 순차 확보 중으로, 일찍부터 관련 체계에 대한 소요결정 및 도입이 됐고 특정 시기에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지난달 26일 북한 무인기 5대가 MDL 이남으로 날아왔다. 그중 1대는 서울 상공으로 진입해 3시간가량 비행하고 북으로 복귀했다. 나머지 4대는 서해상에서 교란 활동을 펼치다가 탐지에서 소실됐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