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남지부가 한일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비판했다.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는 22일 충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굴욕적인 한일 정상회담이 열린 지난 16일은 치욕의 날로 기억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대한민국 대통령이 대법원 판결을 부정한 것도 모자라 구상권까지 포기해 국민의 자존감마저 버렸다"며 "역사는 이날을 제2의 경술국치일로 기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교조 충남지부도 성명을 통해 "일본 정부에 일제 침략에 대한 사과와 반성 의무를 면제해주고, 일본이 신제국주의로 갈 수 있는 길을 허용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학생들이 일본 정부와 기업이 제대로 된 사과와 반성을 하지 않고 넘어가는지, 한국 정부는 왜 그것을 인정하는지 물어볼 때마다 부끄럽다"며 "미래세대 희망과 기회를 앗아갈 이번 합의는 즉각 폐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했다. /연합뉴스
미국에 체류 중인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양측의 잘못된 자세가 합작한 참사"라고 꼬집었다.이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일 정상회담은 양국 정부의 기대와 달리, 양국 관계의 취약성과 한계를 드러내며 새로운 위기를 조성했다"면서 이렇게 적었다.이 전 대표는 "한국 측은 역사에 대한 얕은 지식과 치우친 인식, 국정에 대한 둔감과 속단으로 일을 그르쳤다. 일본 측은 진실을 호도하는 자기중심적 역사 인식, 한국에 대한 감춰진 오만을 쓰나미처럼 쏟아냈다"고 짚었다.또 그는 "한일관계는 개선해야 한다"면서도 "다만 민족정기와 보편적 정의, 삼권분립과 역대 정부의 입장도 살리면서 한일관계를 개선하도록 끝까지 노력했어야 했다"고 했다.이 전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이 전일 독일과 프랑스의 예를 들어 '한일관계도 이제 과거를 넘어서야 한다'고 언급한 것을 두고서도 "독일은 가해의 역사를 지금까지도 반성하고 사과하지만, 일본은 다르다"고 지적했다.이어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한일관계 개선의 당위성을 길게 말했지만, 그 방법의 잘잘못에 대해선 말하지 않고 우회했다"며 "국민의 당혹과 분노는 한일관계 개선 때문이 아니라, 그 방법 때문이라는 것을 알았으면 좋겠다"고 했다.이 전 대표는 "한일 양국은 사태를 직시하며 수습의 지혜를 내기 바란다"며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대로 가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무능의 극치, 대한민국 정체성 흔들어…아집과 독선 가득"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2일 "이번 한일정상회담은 '국민의 자존심과 국격에 대한 테러'"라고 거듭 비판했다. 김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우리 입장에선 대통령의 '독단적 결단', 일본 입장에선 '치밀한 협상전략'의 결과가 되어버렸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일본과 미래지향적 관계 개선은 필요하지만, 이렇게는 절대 아니다"며 "무능의 극치일 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가치를 크게 흔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어제 국무회의에서 대통령은 한일정상회담에 대해 약 23분 동안이나 해명을 했는데, 3·1절 기념사는 5분 30초에 불과했다"면서 "해명 내용은 아집과 독선으로 가득 찬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민과 기업에 일본을 세일즈하는 대통령은 도대체 어느 나라 대통령이냐"고 윤 대통령을 직격했다. 김 지사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독도나 위안부 문제가 논의되었다면 정말 경악할 일"이라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는데 대통령이 우리 국민의 건강과 보건, 국내 관련 산업에 대한 우려 등 우리 입장을 당당히 밝혔는지 궁금하고 걱정스럽다"고 우려했다. 그는 "대통령은 외국을 다녀올 때마다 해명하기 급급해한다. 국민은 대통령이 해외순방을 떠나면 불안해 한다"며 "지금 대한민국이 직면한 최대 위기는 경제위기, 민생위기가 아니라 '대통령 리더십 위기'"라고 또 한 번 날을 세웠다. 앞서 김 지사는 17일에도 "국민, 국익, 국격 없는 3무 정상회담", "역사에 기록될 외교 참사"라고 비판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