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공군 최강의 공중 명사수 '탑건'(Top Gun)에 F-15K 파일럿 김유준(29·공사 64기) 대위가 뽑혔다.
공군은 20일 서울 공군호텔에서 '2022년 공군작전사령부 공중사격대회' 시상식을 개최하고 김 대위 등에게 상을 수여했다.
김 대위는 공대공 요격과 공대지 폭격 부문에서 총 1천 점 만점에 950점을 획득하며 탁월한 공중전투 기량을 선보였다.
가상의 적 항공기들이 침투하는 상황에서 공중전을 통해 적기를 요격하는 공대공 요격 부문 만점을 받았고, 가상의 지대공 미사일 위협을 뚫고 적진으로 들어가 목표물을 명중시키는 공대지 폭격 부문에서도 실력을 과시했다.
그는 2017년 비행훈련을 수료하고 영공방위의 최일선 부대인 제11전투비행단 110전투비행대대에서 비행계획 수립 임무를 담당하는 5년 차 전투기 조종사다.
주기종 F-15K 전투기 590여 시간을 포함해 총 800여 시간의 비행시간을 보유했다.
2019년 대규모 전역급 공중 종합훈련인 소링이글(Soaring Eagle)에 참가해 실전 기량을 다졌으며, 주변국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 진입 시 대응 출격 임무 등 대한민국 영공수호의 최전방에서 맹활약하고 있다.
김 대위는 "평소 '어제의 나보다 발전하는 내가 되자'라는 좌우명을 갖고 비행 훈련과 임무 수행에 매진하고 있으며, 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동료들의 조언에 따라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이어 "탑건의 영예를 안게 해준 선후배 조종사들의 가르침과 부대원들의 지원에 감사드린다"며 "공군의 모든 조종사는 출격하는 매 순간 영공수호 의지를 되새기고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각자 위치에서 헌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회는 공대지 폭격, 공대공 요격 등 공중사격 과목 중심의 '전투기' 분야와 공중투하, 탐색구조 과목의 '공중기동기' 분야로 나눠 진행됐다.
지난 9월 7∼27일 열린 공중기동기 분야에 C-130, CN-235, HH-32, HH-47, HH-60 조종사 41명이 참가했고 10월 4∼19일 열린 전투기 분야는 F-15K, (K)F-16, FA-50, F-5, F-4, KA-1 등의 조종사 200명이 출전했다.
전투기 분야 종합 최우수 대대에 KF-16 기종의 공군 제39비행단 159비행대대와 FA-50 기종의 제16전투비행단 202전투비행대대, F-5 기종의 제10전투비행단 101전투비행대대가 선정돼 대통령상을 받았다.
공중기동기 분야 공중투하 부문에서 공군 제2348부대 C-130 수송기 조종사 신지훈 (33·학군 41기) 대위, 탐색구조 부문에서는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231탐색구조비행대대 HH-47 헬기 조종사 조성모(41·학사 120기) 소령이 각각 최우수 조종사로 선정돼 국방부장관상을 받았다.
신 대위는 "실전적 공중투하 역량을 발전시켜 확고한 영공방위태세 유지에 일조하겠다"고 말했고, 조 소령은 "'동료의 생명은 반드시 구한다'는 필구인명(必救人命)의 사명감을 바탕으로 변함없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시상식에는 1964년 개봉한 영화 '빨간 마후라'에서 교관 조종사 나관중 소령 역을 열연한 배우 신영균(94) 옹이 '신영균 특별상'을 직접 수여했다.
신영균 특별상은 공군 조종사들에게 영공방위의 자긍심을 심어준 신영균 옹의 뜻을 담아 2019년 제정됐으며, '빨간 마후라'의 배경인 강릉기지 소속 전투조종사 중 공중사격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조종사에게 준다.
제18전투비행단 112전투비행대대 F-5 전투기 조종사 박광춘(29·학사 138기) 대위가 이 상을 받았다.
올해 63회를 맞는 이 대회는 최고의 공중전투 기량을 갖춘 조종사와 대대를 선정하기 위해 1960년 '공군사격대회'로 시작됐다.
한미동맹 70주년 맞아 공개행사…FA-18E/F 슈퍼호넷 전투기 등 관람 부산에 입항해 있는 '떠다니는 군사기지' 미국 핵 추진 항공모함 니미츠호(CVN-68)가 시민들에게 공개됐다. 1일 해군작전사령부와 美 11항모강습단은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니미츠호 공개 행사를 실시했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4시간 동안 사전 신청한 1천200명은 부산작전기지에 정박 중인 니미츠호에 승선했다. 관람객들은 영화 '탑건'으로 FA-18E/F 슈퍼호넷 전투기를 비롯해, 신세대 전자전 공격기 EA-18G 그라울러 등 미 해군의 핵심 항공 전력을 자유롭게 둘러보고 기념촬영하는 시간을 가졌다. 제11항모강습단 공보장교 벤 부숑(Ben Bushong) 대위는 "한미동맹 70주년의 역사적인 해에 니미츠호를 한국 대중들에게 공개하게 되어 기쁘다"라며 "한미 해군은 변함없는 형제로서 언제나 함께 굳건한 방위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 남방해상서 우리 해군과 연합 합동훈련을 마치고 28일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한 제11항모강습단은 한미 장병 친선 체육활동, 연합 봉사활동 등 대한민국 해군과 친선 교류 활동을 이어 나갔다. /연합뉴스
마크 밀리 미국 합참의장이 3월 말로 잡혀 있던 방한 일정을 취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합참 관계자는 1일 "미국 합참이 밀리 의장의 방한을 취소한다고 알려왔다"고 말했다. 미 합참 대변인은 밀리 의장 방한 취소에 대한 연합뉴스 질의에 "(밀리) 의장이 지난주에 한국을 방문할 계획이었으나 시간 제약과 상·하원 군사위원회 청문회 증언 건으로 인해 갈 수 없었다"고 밝혔다. 양국 합참의장은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 한미 연합연습 기간이던 지난달 22일 전화 통화만 했다. 미 합참에 따르면 양측은 한반도에서 연합방위태세, 역내 군사협력, 한미동맹 강화에 대한 확신과 약속에 한목소리를 냈다. 또 한미동맹은 한반도와 인도·태평양에서 평화, 안보, 안정의 핵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밀리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기인 2019년 10월 1일 미국의 제20대 합참의장으로 취임해 4년 임기 종료를 앞뒀다. /연합뉴스
"명예로운 마무리·새출발하는 해…마지막까지 임무 수행" 강원 영동지역을 지키는 충용 8군단은 31일 군단 창설 36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8군단은 이날 역대 군단장과 주임 원사, 영동지역 5개 시·군 지자체장, 보훈단체장, 지역 단체장, 예하부대 지휘관 등이 참가한 가운데 부대에서 기념식과 축하 공연 등을 진행했다. 식전 행사로 진행한 '충용전우 홈커밍 데이'에는 역대 군단장인 이철휘·황인권 예비역 대장과 정경조·정연봉·강창구 예비역 중장, 정춘식·김영환 예비역 원사가 참석해 군단 창설의 역사적인 의미를 함께 되새겼다. 박안수 군단장은 "충용 군단은 1987년 4월 1일 창설 이래 36년간 '강원 영동지킴이'로서 대한민국 최북단 동부전선과 강원 영동지역을 굳건히 지켜왔다"며 "올해가 8군단의 이름으로 명예로운 마무리와 새로운 출발을 하는 해인 만큼 마지막까지 명예롭고 완벽하게 임무를 완수하자"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