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조선족 작가로 활동하는 이홍매(56) 전 길림신문 특파원이 조선족의 일본 생활을 소개한 에세이집 '일본에서 살기'(도서출판 북코리아)를 출간했다. '일본에서 살기'는 조선족으로서 그가 25년간 일본에서 살면서 겪은 문화 충격과 차별 그리고 제2의 고향으로 정착하기까지의 좌충우돌했던 경험을 소개한다. 이 작가는 1일 연합뉴스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1996년 당시에는 일본에서 조선족이 잘 알려지지 않아서 어느 나라 사람이냐고 물으면 그냥 중국인이라고 대답했었다"며 정체성을 드러내기 어려웠다고 돌아봤다. 그는 "지금은 일본으로 건너온 이들이 8∼10만에 이르고 경제적·사회적으로 성공한 이도 많아 당당하게 조선족임을 밝히고 산다"고 말했다. 책에서 그는 일본에 건너오면 먼저 월셋집을 구할 때 보증인으로 현지인을 구하는 일에서부터 어려움이 시작된다고 밝혔다. 이 작가는 "이민 초기 물가가 비싼 일본서 집을 사는 건 엄두도 못 냈고 월셋집을 얻어야 했는데, 연대책임을 지는 보증인을 구하기가 어려웠다"며 "외국인을 경계하는 의식도 있어서 더 힘들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조선족으로서 일본에 정착하려면 언어보다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작가는 책에서 재일조선족의 제일 큰 고민으로 자녀들의 현지화를 꼽았다. 일본에서 나고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일본을 터전으로 인식해 국적을 취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것. 그는 "조선족 1세대는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에 능통하고 다문화 수용성도 높지만, 대부분의 차세대는 일본어만 할 줄 아는 상황"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중국 연변대학 조선언어문학 학부를 졸업하고 연변텔레비전방송국
KDI 보고서 "2020년 9∼10월 탈달러라이제이션 분기점" 북한 김정은 정권의 달러 중심 경제가 대북 제재가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하면서 심각하게 와해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석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은 KDI가 1일 발간한 북한경제리뷰 1월호에서 "달러라이제이션으로 상징되던 김정은 시대 북한의 기본적 경제 시스템이 와해되고, 그 결과 기존의 시스템이 달성했던 시장의 활력과 거시경제의 안정성 모두가 일거에 역전"됐다고 평가했다. 달러라이제이션(dollarization)은 달러가 자국 내 통화의 기능을 완전하게 대체했거나 국내 통화와 달러가 병행해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2016년 본격화한 대북 제재 이후 2017∼2019년 무역과 생산, 소득 등에서 충격이 가시화했고, 2019년 들어서는 소득 하락이 실질적인 통화량 감소로 이어졌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탈달러라이제이션이 자연스럽게 진행됐다고 봤다. 그는 "2019년 이후 북한의 시장에서는 달러화 등 외화를 거래의 수단으로 사용하고 싶어도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북한의 경제활동에서 외화의 사용을 줄이고 그만큼 북한의 원화를 더욱 많이 사용해야만 한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진행되던 2020년 9∼10월을 탈달러라이제이션 현상이 관찰되는 중요한 분기점으로 꼽았다.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던 북한의 외화 환율이 이 시기를 기점으로 급락했고, 동시에 북한의 시장환율 체계가 국제시장의 환율 상황으로부터 완전히 일탈하는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 시스템을 떠받치던 달러라이제이션 현상이 더 이상 유지되지 못하
VOA "차량·항공기로 보이는 물체 30여개 포착"…8일 건군절 75주년에 실시 가능성 북한 평양 순안공항에 항공기로 추정되는 물체가 도열하는 등 열병식 준비가 한창인 정황이 나타났다. 1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민간 위성사진서비스 '플래닛 랩스'가 촬영한 지난달 30일자 사진을 분석한 결과 순안공항 남북 활주로 연결 도로에 차량이나 항공기로 보이는 물체가 30여개 포착됐다고 보도했다. 열병식 개최가 가까워질수록 순안공항에 수십 개의 물체가 포착됐던 전례가 있는 만큼 열병식이 임박한 것인지 주목된다고 VOA는 추정했다. 앞서 VOA는 지난달 초 위성사진에서 평양 미림비행장 북쪽의 열병식 훈련장에서 1만 명 이상의 병력이 집결한 모습이 관측된다고 보도했다. 또 동원된 인원들이 '2·8', '75군' 등을 형상화해 2월 8일 건군절 75주년을 기념하는 열병식으로 해석됐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오는 8일 열병식을 개최할 가능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