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승객 검사 취지로 통지했으나 한국인 등 외국인만 검사中 "차별조치에 대등 원칙으로 반응"…한중 방역갈등 지속중국 당국이 1일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예고대로 시행하면서 대부분 한국인인 '외국 국적자'에 대해서만 검사를 했다.한중 항공 노선 상황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방역 당국은 이날 옌지, 난징, 항저우, 광저우, 웨이하이, 우한 등으로 들어온 한국발 여객기에 탑승한 승객 중 중국인을 제외하고 외국인에 대해서만 PCR(유전자증폭) 검사 또는 신속항원 검사를 실시했다.지난달 31일 중국 민항국은 한국 항공사와 외교 당국에 '2월 1일부터 한국발 중국행 직항 항공편에 탑승한 사람에 대해 입국 후 코로나19 검사를 하겠다'고 통보해 국적 불문의 전수 검사를 실시할 것으로 보였으나 자국민은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다.중국 당국이 옌지를 통해 입국한 중국 국적 승객 3명에 대해 예외적으로 PCR 검사를 실시한 것으로 파악됐지만, 이는 중국이 1월 8일 전수 PCR검사 폐지 후 변이 모니터링을 위해 실시해오던 무작위 검사의 일환인 것으로 보인다.입국자에 대한 전수 검사를 폐지한 중국이 한국발 입국자만 특정해 검사하기로 한 것은 한국이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검사를 실시하는 것에 상응한 맞대응으로 풀이됐다.특히 중국 당국이 한국발 입국자 중 자국민을 검사 대상에서 제외한 것은 이번 조치가 방역 강화 목적이 아닌 한국에 대한 보복성 조치임을 한층 더 분명히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현재 한국은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국적 불문하고 검사를 의무화하고 있다.그럼에도 중국 정부는 '대등한 조치'라고 주장했다.마오닝 중국
여기자협회 포럼서 '확장억제 실행력 우려'에 설명…"동맹책임 진지하게 받아들여""우크라 韓인도적 지원 감사…모든 동맹·우방국과 군사 지원 이야기중"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는 북핵 위협이 증대됨에 따라 미국의 확장억제 실행력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것과 관련,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미국을 믿을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골드버그 대사는 이날 오후 한국여기자협회 주최로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3 포럼W'에서 미국의 확장 억제 실행력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 "미래에 대한 걱정은 충분히 이해 가능하다"면서 이렇게 밝혔다. 그는 "동맹으로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책임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우리는 가용한 모든 자원을 활용해 이 같은 약속을 현실화해 나가는데 완전한 굳은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사회에서 불안감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한국 정부, 한국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골드버그 대사는 향후 한미 간 논의가 한국의 핵보유 추진이나 전술핵의 한반도 재배치로 확장될 수 있는지에 대해선 "한국 정부와 하고 있는 논의는 확장억제 의지, 우리의 약속에 대한 것"이라며 "추가적인 조치에 대한 것은 아니다"라고 부정적인 취지로 답했다. 또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등이 '대북 정책과 확장억제 보고서'를 통해 한국 전술핵 재배치에 대비한 모의 훈련을 검토해야한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자유롭고 개방된 사회에서 있을 수 있는 이야기"라고만 했다. 그는 북한 암호화폐 탈취 시도 차단을 위한 한미 협력에 성과가 있는지 묻자 "진전이 있지만 여기서는 이야기할 수 없다"며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윤석열 대통령의 '남쪽 체제 중심의 통일' 발언에 대해 1일 "기업 인수합병(M&A)으로 치면 인수가 아닌 합병"이라고 설명했다. 권 장관은 이날 채널A '뉴스A 라이브'에 출연해 "M은 합병(Mergers)이고 A는 인수(Acquisitions) 혹은 흡수로 통일방식에서는 흡수라고 할 수 있을 텐데, 우리가 A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M을 추구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 M(합병)도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해서 평화통일을 하자는 얘기"라고 덧붙였다. 권 장관은 "독일에서 동독이 서독에 흡수통일된 이후에 진보, 보수할 것 없이 우리 정부 중에서 흡수통일을 지향하는 정부는 하나도 없다"며 윤석열 정부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권 장관은 경색된 남북관계의 물꼬를 트기 위한 종교, 사회, 스포츠단체의 대북 접촉을 지원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종교단체, 사회단체, 스포츠 단체들이 먼저 앞장을 서는 것도 남북 간의 단절을 끝내고 대화를 시작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며 이들 단체의 대화 노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권 장관은 "북한이 어떤 도발을 했을 때 우리가 유화적으로 그냥 감수하고 넘어가는 것은 남북관계를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고 북한에게도 좋지 못한 신호를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