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서울 종로에서 일본 군경 1천명에 맞서 혈혈단신으로 시가전을 벌이다 장렬하게 산화한 김상옥 의사 순국 100주년을 기리는 행사가 열린다. 국가보훈처는 31일 오후 2시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일대 천 항일 서울시가전 승리 100주년 기념식'이 김상옥의사기념사업회 주관으로 거행된다고 30일 밝혔다. 기념식에는 박민식 보훈처장, 윤홍근 김상옥의사기념사업회장과 회원, 독립유공자 유족 등이 참석한다. 1890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상옥 의사는 20세에 동흥야학교를 설립해 사회 계몽과 민족교육에 헌신했다.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윤익중, 신화수, 정설교 등 동지들과 비밀결사조직인 혁신단(革新團)을 조직하고 기관지 혁신공보를 발행해 독립정신을 고취했다. 이듬해 만주에서 귀국한 김동순과 암살단을 조직해 일제 주요 기관을 파괴하고 요인을 척살하는 의열투쟁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키로 계획하고 일제의 수사망을 피해 10월 상해로 망명했다. 그곳에서 김구, 이시영, 조소앙 등 임시정부 요인과 교류하면서 의열단에 가입했다. 1922년 겨울 의열단원으로서 폭탄, 권총, 실탄을 휴대하고 안홍한, 오복영 등과 서울에 잠입, 기회를 엿보다 1923년 1월 12일 밤 일제 식민통치의 심장부인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해 여러 명을 다치게 했다. 피신 중 김 의사는 일본 군경 1천여 명에 홀로 맞서 치열한 시가전을 벌이다 22일 밤 마지막 남은 총탄 한 발로 33세에 장렬하게 순국했다. 정부는 의사의 공적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연합뉴스
군병원·의무시설·신교대 입소자 등은 음성 때까지 의무 착용 보건당국의 실내 마스크 지침 전환에 따라 군도 실내에서 마스크를 벗는다. 30일 국방부에 따르면 이날부터 각 군에서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완화하는 지침을 시행했다. 이에 따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대부분 해제되나 군 보건의료기관(군병원, 군의무시설)에서는 착용 의무가 유지된다. 신병교육기관 입소자도 최초 유전자(PCR) 검사에서 음성으로 확인되기까지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마스크 착용을 '강력 권고'하는 대상에는 보건당국의 지침에 더해 군의 특수성을 고려한 시설이 추가됐다. 국방부는 지휘통제실, 함정, 중앙방공통제소(MCRC) 등 각 군이 판단하는 작전임무 관련 주요시설을 비롯해 외부진료 버스 등 공용차량, 면회실, 행정안내실 등 불특정 다수 접촉으로 부대 내 감염 유입 가능성이 큰 공간 등에서는 마스크를 계속 착용할 것을 강력히 권고했다. 아울러 밀집도, 비말전파 위험도 등 현장 상황을 고려해 지휘관의 판단에 따라 마스크 착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