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연구원, 1단·6실·5센터 구성…신청사 이전은 내년 6월 이후광주연구원, 단계적으로 30∼40명까지 충원 광주시와 전남도가 광주전남연구원을 분리해 각각 연구원을 개원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28일 전남도에 따르면 광주전남연구원 이사회가 전날 연구원 분리 운영안을 의결하자 도는 곧바로 전남연구원 개원 준비에 들어갔다. 전남연구원은 조례 개정, 연구원 이사회 개최, 원장 선임 등을 거쳐 오는 7월 나주에 있는 현 광주전남연구원 사무실에서 개원식을 갖는다. 광주전남연구원 사무실 임대 기한이 2024년 6월까지인 점을 고려해 시간을 두고 신청사 입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전남연구원 신청사는 도청사가 있는 무안 또는 목포에 마련될 것으로 예상한다. 조직은 1단(상생협력단), 6실, 5센터 65명가량으로 꾸려진다. 전남연구원 위상 제고를 위해 국책 연구기관 등에 연구원을 파견하고, 비상임연구원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연구시스템 개선을 위해 기획과제(박사급 4명 이상 융복합 연구)와 지원과제(수시 과제)를 확대하고, 성과 중심의 연구원 평가제도를 도입한다. 광주·전남의 상생 연구 활성화를 위해 광주·전남상생발전위원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광주연구원과 공동발표회, 교차 근무제, 공동연구 인센티브제 등도 도입할 예정이다. 광주시도 이르면 7월 광주연구원 개원을 목표로 조직, 인력 등 구상에 들어갔다. 기존 광주전남연구원을 승계하는 전남연구원과 달리 광주연구원은 법인 신설 절차를 밟아야 한다. 광주시는 조례 개정, 이사회 구성, 법인 등기 등을 거쳐 공모를 통해 원장을 선임할 예정이다. 전남도와 협의해 현재 37명인 광주전남연구원 연구 인력 일
전남 고흥군은 군청 및 읍·면사무소 민원 담당 공무원에게 휴대용 보호 장비인 웨어러블 캠(wearable cam) 33대를 배부했다고 28일 밝혔다. 웨어러블 캠은 목걸이 형태로 착용이 가능하고 사각지대 없이 전·후방 촬영이 가능하며 간단한 조작으로 촬영·녹음할 수 있는 장비이다. 민원인의 폭언·폭행, 기물 파손 등 위법행위를 예방하고 문제 발생 시 법적 증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어 민원 담당 공무원을 보호하고 올바른 민원 문화 정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군은 설명했다. 군은 경찰서와 연계 CCTV·비상벨 설치, 민원창구 안전유리 설치 등 민원 담당 공무원 보호에 노력하고 있다. /연합뉴스
(창원=연합뉴스) 경남도와 경남테크노파크는 도내 기업을 대상으로 현장실습비 지원사업을 한다고 28일 밝혔다. 경남도는 교육부가 이미 시행 중인 '대학생 현장실습학기제'에 도내 기업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도비 10억원을 들여 현장실습학기제 참여기업이 부담해야 하는 현장실습비 일부를 지원한다.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현장실습학기제는 학교와 현장실습기관 간 실시되는 학교 밖 연장된 경험을 위한 수업방법으로, 참여 학생에게는 학점을 주고 기업체 등 실습에 참여하는 기관은 학생에게 최저임금의 75% 이상을 의무 지급해야 한다. 총 280명에게 지원하는 현장실습비 지원은 도내 대학생에게는 지역기업에서 현장 업무를 경험하면서 직무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고, 기업에는 대학생 현장실습을 통해 지역인재를 선점할 기회를 제공한다. 도내 중소·중견기업이 도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실습생으로 활용하면 기업당 최대 5명까지 4개월간 월 최대 120만원의 실습비를 지원받고, 참여 대학생은 현장 경험과 함께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지원받는다. 이 사업 참여 대상은 도내 전략산업 및 신기술·서비스산업 분야 상시근로자 수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으로, 경남테크노파크 누리집(www.gntp.or.kr)에서 신청하면 된다. 경남도, 중소기업 노동자 대학생 자녀 장학금 지원 (창원=연합뉴스) 경남도는 도내 중소기업 노동자의 복지증진과 생활 안정을 위해 올해 총 45명의 대학생 자녀를 선발해 9천만원의 장학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이 장학금 지급 대상은 도내에 주소를 두고, 도내 중소기업에서 6개월 이상 근무 중인 노동자 또는 도내 소재 사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