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가 나면 물에 떠다녀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목함지뢰를 찾아낼 수 있는 ‘신형 지뢰탐지기’(사진) 전력화가 본격 시작됐다.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10월 방위사업청과 계약한 신형 지뢰탐지기 양산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납품을 시작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이번에 초도 납품된 신형 지뢰탐지기는 육·해·공군 및 해병대에 공급됐다. 향후 1600여대가 순차적으로 전력화 될 예정이다.
국제 민간기구인 국제지뢰금지운동(ICBL)에 따르면 국내 비무장지대(DMZ)는 200만발 가량 매설돼 세계 최고 수준의 지뢰 밀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발목지뢰는 플라스틱 재질로 무게가 100g도 채 되지 않아 폭우 시 유실될 가능성이 크다. 파괴력이 큰 목함 지뢰는 홍수가 나면 물에 떠다녀 쉽게 유실되곤 해 국민 안전을 위협해 왔다.
신형 지뢰탐지기는 지표투과레이다(GPR)와 금속탐지기(MD) 복합센서를 통해 기존 지뢰탐지기로는 찾아내지 못했던 목함 및 발목 지뢰 등 비금속지뢰까지 탐지 가능하다. 수중탐지뿐 아니라 탐지된 지뢰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탐지율이 높아지고, 오경보율은 저하되는 등 탐지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됐다.
MD단일탐지·GPR단일탐지·복합탐지 등 3가지 운용 모드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 가능해 활용도가 높다.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해 운용 피로도가 현저히 낮아져 장시간 탐지가 가능해 향후 군 지뢰제거작전시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지뢰제거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사측은 이번 전력화를 통해 우리 군이 지뢰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안전하게 작전을 수행하고, 지뢰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박혁 한화시스템 감시정찰사업부문장은 “신형 지뢰탐지기의 핵심 기술인 지표투과레이다(GPR)는 해외 선진국 대비 탁월한 성능과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적극적으로 수출길을 개척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목함지뢰까지 찾아낼 수 있는 ‘신형 지뢰탐지기’의 전력화가 본격 시작됐다.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은 지난해 10월 방위사업청과 계약한 ‘신형 지뢰탐지기’ 양산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납품을 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초도 납품된 신형 지뢰탐지기는 육·해·공군 및 해병대에 공급됐으며, 향후 총 1600여대가 순차적으로 전력화 될 예정이다.국제민간기구 ‘국제지뢰금지운동(ICBL)’에 따르면 국내 비무장지대(DMZ)는 약 200만발 가량 매설돼 세계 최고 수준의 지뢰 밀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발목 지뢰는 플라스틱 재질로 무게가 100g도 채 되지 않아 폭우 시 유실될 가능성이 크고, 파괴력이 큰 목함 지뢰는 홍수가 나면 물에 떠다녀 쉽게 유실되곤 해 국민의 안전을 위협해왔다.신형 지뢰탐지기는 지표투과레이다(GPR: Ground Penetrating Radar)와 금속탐지기(MD: Metal Detector) 복합센서를 통해 기존 지뢰탐지기로는 찾아내지 못했던 목함 및 발목 지뢰 등 비금속지뢰까지 탐지 가능하다. 또한, 수중탐지는 물론 탐지된 지뢰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탐지율은 월등히 높아지고, 오경보율은 저하되는 등 탐지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었다.MD단일탐지·GPR단일탐지·복합탐지 등 3가지 운용 모드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 가능해 활용도가 높고,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해 운용 피로도가 현저히 낮아져 장시간 탐지가 가능해 향후 군 지뢰제거작전시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지뢰제거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박혁 한화시스템 감시정찰사업부문장은 “이번 전력화를 통해 우리 군이 지뢰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안전하게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지뢰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특히 신형 지뢰탐지기의 핵심 기술인 지표투과레이다(GPR)는 해외 선진국 대비 탁월한 성능과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적극적으로 수출길을 개척해 나갈 것이다”라고 앞으로의 계획을 밝혔다.이에 덧붙여 박혁 감시정찰사업부문장은 “한화시스템은 지뢰로 인해 고통을 겪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지뢰제거를 위한 인도적 활동에도 적극 참여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以上[첨부: 관련사진 1개]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 신입사원들이 현충원 참배 및 봉사활동으로 본격적인 직장생활의 시작을 알렸다.지난 7일 서울국립현충원에서 진행한 이날 행사에는 한화시스템 하반기 신입사원 49명이 참여해 묘역 정화 활동을 진행하며 순국선열의 희생정신을 기리는 시간을 가졌다.한화시스템은 매년 신입사원 채용 후 다양한 단체 활동을 통해 조직 몰입도와 동기부여를 증진시켜왔으며, 올해는 나눔 활동의 일환으로 현충원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활동에 참여한 신입사원들은 향후 입문교육·직무교육 등의 과정을 거쳐 현업에 투입될 예정이다.조상제 한화시스템 인사지원실장은 “최근 국가 안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연이은 K
이번에 공급할 조준장치는 주∙야간 모두 조준이 가능한 열상조준경 방식으로 야간∙안개 등 악천후 상황에서도 전장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고, 도트사이트를 장착해 사용자가 두 눈으로 신속하게 조준∙사격할 수 있다.조준장치는 K15기관총과 통합돼 원거리 적 밀집 부대를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고, 미래 개인전투체계인 워리어플랫폼과도 연동되어 향후 우리 군의 전투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김영호 한화시스템 지휘통제사업부문장은 “한화시스템은 국경∙해안∙주요시설 및 전장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광학 장비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라며, “이번에 공급될 조준장치는 사격 명중률을 향상 시켜 병사들의 전투력 및 생존력을 강화할 수 있는 핵심 장비인 만큼 적기에 전력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전했다.한편, K15 기관총은 도입된 지 30년이 넘은 K3 기관총을 대체하기 위해 2016년 개발을 시작해 2021년부터 전력화 진행중이다. 우리 군이 보유한 다른 화기들과 호환성이 좋고, ▲신뢰도 ▲내구성 ▲정확도 ▲운용편의성 등이 개선되어 전투력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관련사진: 1개] 한화시스템이 공급 예정인 ‘K15 기관총 조준장치’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