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로 대공수사권 넘어간 뒤 수사력 약화 방지…활동기한은 연말까지 국가정보원은 대공수사권 경찰 이관을 앞두고 연말까지 검경과 함께 대공합동수사단을 운영하기로 했다. 국정원은 6일 보도자료를 내고 "국정원은 경찰청·검찰청과 함께 오늘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 '대공 합동수사단'을 상설 운영하며 국가보안법 위반 사건을 함께 내·수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무실은 서초구 내곡동의 국정원에 마련되며 경찰에서 총경급을 포함해 20여명, 검찰에서 10명 미만의 검사가 참여할 것으로 전해졌다. 합수단 운영은 문재인 정부 때인 2020년 말 개정된 국정원법에 따라 국정원의 대공수사권은 폐지되고 모든 대공수사권이 내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경찰에 완전히 넘어가는 것에 대비한다는 취지에서다. 국정원은 "이를 통해 국가정보원의 대공수사 기법을 경찰에 공유하고 파견 검사는 법리 검토와 자문 역할을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향후 대공 합동수사단의 운영 성과와 안보 환경, 수사 시스템에 대해 종합 검토를 통해 국정원과 각급 수사기관의 협력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앞서 정부와 여당은 대공수사권이 경찰로 넘어간 뒤 안보수사력이 약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국정원에 관련 수사지원 조직을 만들어 경찰과 공조를 이어가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경찰은 3년 유예기간에 관련 인력과 조직 등을 보강하고 있지만, 해외 방첩망의 경우 특히 미흡하다는 것이 정부·여당의 공통된 인식이다. 대공수사에 필수적인 해외 정보기관과의 네트워크나 휴민트(인적 정보망) 부분에서 국정원을 대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국정원이 최근 집중 수사 중인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자들이
"공군 레이더에 포착된 항적 없어…방공관제레이더로 탐지 가능"北서 날아온 2m급 기상관측용 풍선 어제 전방서 관측…軍 "수시로 발견" 국방부는 최근 미국이 격추한 중국의 '정찰 풍선'이 우리 영공을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 측이 평가한 중국 정찰 풍선의 고도와 우리 대공 능력 등을 고려해서 우리 영공을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 대변인은 "해당 시기에 우리 공군 레이더에 포착된 항적도 없었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기상학자 댄 새터필드가 국립해양대기국(NOAA)의 기류 이동 모델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면 중국 정찰 풍선이 높이 1만4천m에서 기류를 타고 이동했다고 가정했을 경우 한반도 영공의 남서쪽 끝부분을 스쳐 지나갈 수 있다. 이는 기류 움직임 모델을 바탕으로 한 시뮬레이션일 뿐 실제 중국 풍선의 이동 경로는 아니다. 아울러 북미 대륙 상공에서 발견된 문제의 중국 정찰 풍선과 같은 기구가 우리 영공에서 탐지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이번에 미국에서 격추된 것과 유사한 정찰 풍선 탐지 능력에 대해 "우리 방공관제레이더는 영공 전 지역의 탐지가 가능하다"면서 "해당 시기에 군의 레이더에 포착된 항적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날 오후에는 북한이 날린 것으로 추정되는 2m급 기상관측용 풍선이 경기도 연천 전방 지역 일대에서 식별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군은 포병이 풍향 등 기상 관측 용도로 풍선을 띄우며 우리 군에 수시로 포착된다고 군 관계자가 전했다. 우리 군이나 기상청 등도 기상 관측을 위해 풍선을 띄우는
"공군 레이더에 포착된 항적 없어…방공관제레이더로 탐지 가능"北서 날아온 2m급 기상관측용 풍선 어제 전방서 관측…軍 "수시로 발견" 국방부는 최근 미국이 격추한 중국의 '정찰 풍선'이 우리 영공을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 측이 평가한 중국 정찰 풍선의 고도와 우리 대공 능력 등을 고려해서 우리 영공을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 대변인은 "해당 시기에 우리 공군 레이더에 포착된 항적도 없었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기상학자 댄 새터필드가 국립해양대기국(NOAA)의 기류 이동 모델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면 중국 정찰 풍선이 높이 1만4천m에서 기류를 타고 이동했다고 가정했을 경우 한반도 영공의 남서쪽 끝부분을 스쳐 지나갈 수 있다. 이는 기류 움직임 모델을 바탕으로 한 시뮬레이션일 뿐 실제 중국 풍선의 이동 경로는 아니다. 아울러 북미 대륙 상공에서 발견된 문제의 중국 정찰 풍선과 같은 기구가 우리 영공에서 탐지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이번에 미국에서 격추된 것과 유사한 정찰 풍선 탐지 능력에 대해 "우리 방공관제레이더는 영공 전 지역의 탐지가 가능하다"면서 "해당 시기에 군의 레이더에 포착된 항적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날 오후에는 북한이 날린 것으로 추정되는 2m급 기상관측용 풍선이 경기도 연천 전방 지역 일대에서 식별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군은 포병이 풍향 등 기상 관측 용도로 풍선을 띄우며 우리 군에 수시로 포착된다고 군 관계자가 전했다. 우리 군이나 기상청 등도 기상 관측을 위해 풍선을 띄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