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3.5조원 투입해 수해안전망 구축…반지하 등에 실시간 대피경고
취약세대 일대일 돌봄공무원 지정…하수관거 등 방재기반시설 정비
서울시, 10년만에 방재목표 상향…시간당 100㎜ 호우 대응
서울시가 8월 폭우를 계기로 수방대책 기준을 10년 만에 높이고,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 기반의 지능형 수방시스템을 구축한다.

서울시는 10년간 총 3조5천억원을 투입해 이 같은 내용의 '수해안전망 추진전략'(2022~2032)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이는 8월 10일 오세훈 시장이 강남 등 침수취약지역 6곳에 대심도빗물터널을 만들겠다고 밝힌 이후 전문가 자문과 공개토론회 등을 거쳐 내놓은 후속 대책이다.

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수방대책 체계를 대대적으로 전환한다"며 "방재 목표와 역량을 변화된 여건에 맞게 키워 수해안전망을 보다 정교하게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우선 2012년부터 서울 전역에 동일하게 적용 중인 '방재성능목표'(시간당 처리 가능한 최대 강우량)를 10년 만에 상향하기로 했다.

강우처리목표를 시간당 95㎜에서 100mm로 높이고, 침수취약지역인 강남역 일대는 110mm까지 상향한다.

이에 따라 앞으로 설치되는 모든 방재시설은 시간당 100∼110mm의 폭우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향된 방재성능목표와 달라진 지형 등은 연말까지 서울시 '재해지도'에 반영된다.

지역별로 목표치도 세분화해 각 지역의 호우 빈도·침수 면적·유동인구·하천 처리 능력 등을 고려해 방재성능목표를 탄력적으로 적용한다.

중점관리지역은 점차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대심도 빗물배수시설 설치와 더불어 2조원을 투자해 상향된 방재 목표에 맞춰 방재 기반 시설을 개선한다.

빗물이 흘러가는 통로인 하수관거 598㎞ 정비에 1조2천억원, 빗물펌프장 18곳 증설에 3천526억원, 총 9만4천t 규모의 신림동·신영동 빗물저류조 신설에 641억원, 도림천·오류천·사당천 등 하천 단면 확장에 281억원을 투입한다.

빗물을 머금는 물순환시설 용량은 2040년까지 2배 이상 확대한다.

이를 위해 기존 빗물받이를 침투형으로 교체하고, 도심 내 교통섬이나 녹지 등 유휴공간을 활용한 '도시그린댐'을 시범 설치한다.

서울시, 10년만에 방재목표 상향…시간당 100㎜ 호우 대응
시는 또한 빅데이터, IoT 등 첨단 기술 기반의 지능형 수방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대피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해 도로, 반지하주택 등의 침수 상황을 IoT 감지기로 파악해 문자 등으로 대피 경고를 하는 '스마트 경고시스템'과 주거지역에 대한 '침수 예·경보제'를 내년 시범 도입한다.

2030년까지는 인공지능(AI)으로 수방 관련 데이터를 자동 분석·예측하는 수방통합시스템을 구축한다.

반지하 등 침수취약가구에 대한 안전대책도 강화한다.

장애인과 홀몸노인처럼 긴급대피가 어려운 반지하 세대에 공무원을 일대일로 지정해 집중호우 시 대피와 복구를 돕고, 내년부터 2028년까지 매년 120억원을 투입해 전체 반지하 주택에 물막이판 등 침수방지시설 설치를 무상 지원한다.

서울시, 10년만에 방재목표 상향…시간당 100㎜ 호우 대응
아울러 연말까지 침수우려지역 1만곳에 맨홀 추락방지시설을 설치한다.

전 지하철역사 출입구에는 내년 5월까지 차수판(물막이판)을 설치하고, 모든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등에 물막이시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법제화도 추진한다.

제도 개정 전까지는 용도변경 등 건축 인허가 시 침수방지시설 설치를 조건으로 부여해 설치를 유도할 방침이다.

물을 퍼내는 양수기는 가까운 곳에서 쉽게 대여할 수 있도록 내년 우기 전까지 1만9천대를 동주민센터 등에 비치할 예정이다.

시는 "기존 서울시 수방대책의 한계에 대한 통렬한 반성과 철저한 분석을 통해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며 "많은 예산과 시간이 필요한 일이지만 꼼꼼히 준비해서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