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F-35A, 미국 F-22·F-35B 등 참여 1일 실시…올해 첫 연합공중훈련"앞으로 전략자산 더 많이 출동" 美오스틴 국방 언급 이튿날 동시 출격 한국과 미국이 양국 국방장관 회담 직후 미측 전략자산을 동원한 연합훈련으로 확장억제 공약 실행력을 과시했다. 2일 국방부에 따르면 한미 공군은 전날 미 전략자산 전개 하에 2023년 첫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했다. 훈련에는 우리 측 F-35A 전투기와 미측 B-1B 전략폭격기 및 F-22·F-35B 전투기 등이 참여한 가운데 서해 상공에서 편대비행을 시행했다. 앞서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지난달 31일 한미 국방장관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전략자산을 앞으로 더 많이 전개할 것'이라고 밝힌 이튿날 전략자산을 동원한 연합훈련이 진행된 것이다. 이번 연합훈련에 투입된 미측 전력 규모는 정확히 공개되지 않았으나 훈련 사진을 보면 B-1B 2대와 함께 F-22, F-35B 수 대가 참가한 것으로 보인다. 연합훈련은 전날 정오쯤 진행됐으며 훈련 종료 후 B-1B는 미 본토로 복귀하지 않고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폭격기기동군(BTF) 임무를 위해 괌으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B-1B, F-22, F-35B의 한반도 동시 출격은 2017년 12월 초 '비질런트 스톰' 훈련 이후 5년여 만이다. '최강 전투기'로 불리는 F-22는 그 후 2018년 5월과 작년 12월에 이어 네 번째로 한국에 전개했다. 이번 연합공중훈련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강력하고 신뢰성 있는 확장억제를 제공한다는 미국의 의지와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훈련은 한미 공군의 연합작전 수행 능력과 상호운용성을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국방부는 "이번 훈련은 작년 한미 정상회담과 제54차 한
한국과 미국이 양국 국방장관 회담 다음날 미 전략폭격기 등을 동원한 연합훈련을 했다. 한·미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및 도발 위협에 따른 ‘확장억제’ 강화 기조를 재확인한 뒤 즉각 실행력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북한은 미 전략자산 전개 확대에 반발하면서 ‘초강력 대응’을 예고했다. 국방장관 회담 다음날 연합훈련2일 국방부에 따르면 한·미 공군은 전날 서해 상공에서 올해 첫 연합 공중훈련을 했다. 훈련에는 우리 공군의 F-35A 스텔스 전투기와 미군 B-1B 폭격기, F-22 및 F-35B 스텔스 전투기가 참여했다. 핵폭탄을 탑재할 수 있는 B-1B 등은 유사시 한반도에 전개되는 미군의 주요 전략자산으로 꼽힌다.이번 훈련은 지난 1일 낮 12시께 이뤄졌고, 훈련이 끝난 뒤 B-1B는 미 본토로 복귀하지 않고 괌으로 이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연합 공중훈련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강력하고 신뢰성 있는 확장억제를 제공한다는 미국의 의지와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한·미 공군의 연합 작전수행 능력과 상호 운용성을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고 설명했다.지난해 한·미는 정상회담과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 ‘적시적이고 조율된 전략자산 전개’에 합의했다. 당시 합의가 연합훈련의 배경이 됐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이다. 특히 이번 공중훈련은 한·미 국방장관 회담 이후 하루 만에 이뤄졌다. 지난달 31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은 서울에서 이종섭 국방부 장관을 만나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 방침을 재확인했다. 오스틴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F-22·35 등 미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를 늘리겠다”
육군 7사단은 동계 전투준비태세를 철저히 확립하고자 야외 혹한기 훈련을 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훈련은 장병들이 혹한의 기상 조건을 극복해 국지도발 및 전면전 상황에서 작전 대비 태세를 확립하고자 실시한다. 훈련은 오는 6∼10일 강원 화천군 일대에서 시행한다. 이 기간 국도·지방도 등으로 장비와 차량, 병력이 대규모로 이동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일부 지역에서는 검문소를 운영해 부분적인 교통통제가 이뤄질 수 있다. . 사단 관계자는 "원활한 훈련 진행을 위해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이해와 협조를 부탁한다"며 "불편 사항은 사단 민원실(☎ 033-441-1199)로 연락해달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