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외교참사 책임 묻겠다"…與 정언유착 프레임엔 "새빨간 거짓말"
"72시간내 표결해야…의장 재량 아냐"…金의장 상정 거부 차단 포석
외교참사대책위 구성해 '순방 외교' 검증…'욕설규탄 SNS 캠페인'도
野 '박진 경질' 여론전 총력…해임건의안 키 쥔 金의장 압박
더불어민주당은 28일 전날 당론으로 발의한 박진 외교부 장관 해임건의안을 앞세워 대여(對與) 공세 수위를 더욱 끌어 올렸다.

예고한 대로 해임건의안의 '29일 본회의 처리'를 자신하며 윤석열 정부의 '외교 무능' 프레임을 굳히는 데 총력을 가했다.

아울러 윤석열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을 정언유착으로 규정하며 맞불을 놓은 국민의힘을 상대로는 전면적 여론전에도 돌입했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대통령의 영미 순방은 이 정부의 외교 수준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며 "그 책임을 국민과 언론, 야당에 뒤집어씌우려는 시도는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1당으로서 이번 외교 참사의 책임을 분명히 묻겠다"고 강조했다.

그간 민생 현안 메시지에 주력하며 '순방 외교 논란'에는 말을 아꼈던 이 대표도 당의 대대적 비판 공세에 올라탄 것이다.

野 '박진 경질' 여론전 총력…해임건의안 키 쥔 金의장 압박
민주당은 해임건의안의 본회의 상정 조건으로 여야의 의사 일정 협의를 내건 김진표 국회의장에 대한 압박전도 폈다.

김 의장이 해임건의안 상정을 위해 만에 하나 여야 원내 지도부 간 '합의'를 요구할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진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회법에는 (해임건의안의 본회의) 보고 후에 24∼72시간 이내에 표결한다고 돼 있다"며 "이 문제에 대해서는 국회의장의 재량이 없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해임건의안이 무난히 본회의에 상정돼 가결되더라도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유력해 보이는 만큼 이에 대비한 여론전에도 불을 지폈다.

진 수석은 "역대 장관 해임건의안은 모두 6번 통과됐고 그중에 5명의 장관이 자리에서 물러났다"며 "(가결된) 해임건의안을 윤 대통령이 수용하지 않는다면 더 큰 국민적 비난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野 '박진 경질' 여론전 총력…해임건의안 키 쥔 金의장 압박
민주당은 해임건의안이 169명 의원의 만장일치로 채택된 만큼 상정만 된다면 본회의 가결은 떼어 놓은 당상으로 보고 있다.

재적의원 과반(150명)만 찬성하면 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당내 일각에서는 정의당(6명), 무소속·기본소득당·시대전환(9명)에 국민의힘 내부 '반란표'까지 가세할 경우 찬성표가 최대 200표까지 이를 수 있다고 기대하는 눈치다.

원내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보수적으로 잡아도 찬성표가 190표 가까이 나오지 않을까 한다"며 "이럴 경우 사실상 윤석열 정부에 대한 탄핵에 버금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지 않으냐"라고 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이 '역공 카드'로 들고나온 정언유착 프레임에도 정면 대응했다.

윤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 영상을 가장 먼저 보도한 MBC와 민주당간 '사전 공모' 가능성을 제기한 여당의 주장에 대해 진 수석은 "새빨간 거짓말이자 이 사안을 모면하려는 수작"이라며 "필요하면 공개할 수도 있겠다만 우리도 SNS를 통해 (비속어 논란 영상을) 입수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野 '박진 경질' 여론전 총력…해임건의안 키 쥔 金의장 압박
한편 지도부는 윤 대통령의 이번 순방 외교를 총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위원회도 당내에 꾸리기로 했다.

외교 실정(失政) 사례를 낱낱이 파헤쳐 외교라인 경질의 범위를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안보실 1차장 등까지 확대하겠다는 복안으로 보인다.

기구 명칭은 외교참사대책위원회(가칭)로, 위원장으로는 고민정 최고위원이 맡기로 했다.

대책위에는 국회 운영위·산자위·과방위 등 주요 상임위 간사들도 참여할 예정이다.

아울러 당 홍보국은 의원들에 '윤석열 대통령 욕설 규탄을 위한 긴급 SNS 캠페인' 협조 요청문을 배포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의 비속어 사용과 거짓 해명을 비판하는 피켓을 들고 촬영한 사진을 SNS에 신속히 공유해 달라는 내용으로, 윤석열 정부의 '외교 참사'를 부각하기 위한 온라인 여론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