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당의 위기를 빠르게 수습하기 위해 9일 비대위원장 임명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비대위 당내 갈등이 제대로 봉합될지는 미지수다. 이준석 대표의 법적 대응 여부가 최대 변수다. 차기 당대표를 뽑는 전당대회 개최 시기를 놓고도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차기 당대표가 2024년 총선의 공천권을 쥐게 되는 만큼 당권주자들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비대위원장 임명까지 속전속결

8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9일 비대위 전환을 위한 당헌 개정과 의원총회 추인, 비대위원장 지명까지 하루 안에 끝내는 속도전에 나선다.

먼저 오전 9시 전국위원회를 열고 당헌 개정안을 의결한다. 당대표와 권한대행뿐만 아니라 직무대행도 비대위원장을 임명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오후 2시에는 화상 의원총회에서 비대위원장을 추인한다. 비대위원장으로는 5선인 주호영 의원이 유력하다. 추인을 받으면 다시 전국위를 열어 권성동 원내대표가 주 의원을 비대위원장으로 임명한다.

이후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비대위원 구성까지 마친 뒤 이르면 12일부터 비대위 체제로 공식 전환된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따르면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는 즉시 기존의 최고위는 해산된다. 6개월 당원권 정지 징계로 부재중인 이 대표는 자동 해임된다.

국민의힘의 비대위 전환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석 달 만이다. 그 사이 여당 지도부는 두 번이나 바뀌었다. 지난달 11일 권성동 직무대행 체제에 들어선 뒤 약 한 달 만에 비대위 지도 체제로 전환이 이뤄지는 것이다.

하지만 비대위 전환 후에도 곳곳에 갈등의 불씨가 남아 있다. 이 대표 측이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을 예고하면서 비대위가 출범하자마자 정당성 논란에 휩싸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 대표 측 신인규 상근부대변인은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국위에서 비대위원장을 의결한 시점 이후에 신속하게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고 말했다.

차기 전당대회 시점 두고 이견

차기 당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 개최 시점도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비대위 성격과 기간이 달라질 수 있어서다. 전당대회가 조기에 이뤄진다면 비대위 성격은 사실상 ‘관리형 비대위’가 되고, 내년 전당대회를 염두에 둔다면 ‘혁신형 비대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 당내에서는 9월 정기국회와 10월 국정감사에 집중하고, 내년 초에 전당대회를 개최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하면 여당이 민생은 뒷전으로 하고 당권 경쟁에 몰두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유력 당권주자들은 이해관계에 따라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권 원내대표는 내년 초 전당대회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표면적으로는 여당의 전당대회가 윤석열 정부의 첫 정기국회와 시기가 겹쳐선 안 된다는 입장이지만, 내년 4월까지인 자신의 원내대표 임기 등 정치적 시간표와도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반면 유력 당권주자인 김기현 의원은 집권 여당이 비대위 체제를 장기화해서는 안 된다며 조기 전당대회를 주장하고 있다. 전당대회 시간표가 빨라진다면 시점은 10월 국정감사가 시작되기 전인 9월 말~10월 초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