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8일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사퇴와 관련, "깊은 유감과 집권여당으로서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양금희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국무위원은 국민의 뜻을 헤아리고 세심하게 살펴야 하는 엄중한 자리"라며 이같이 밝혔다. 양 원내대변인은 "인사청문회부터 정책 수립과 집행까지 그 어느 과정, 그 어떤 순간에도 국민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며 "국민 대다수의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고 그에 부합하는 정책을 펴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은 정부와 국회의 존재 이유는 오직 국민임을 다시 깊게 새기겠다"고 덧붙였다. '국민의 뜻'은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 오전 휴가 후 복귀 일성으로 제시한 키워드다. 양 원내대변인은 이날 또 다른 논평에서도 "모든 문제 해결의 시작은 '국민적 관점'"이라고 밝혔다. 양 원내대변인은 "국정운영의 책임을 함께 하는 집권여당으로서 대통령의 발언에 깊게 공감하며, 무거운 책임감으로 국민 눈높이의 당내 쇄신과 민생경제를 위한 개혁 입법 등에 모든 힘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야당도 더이상 근거 없는 정치공세가 아닌, 민생회복과 입법과제 해결에 부디 함께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며 "권익위원장·방통위원장 등 지난 정권에서 임명된 인사를 둘러싼 불필요한 인사 갈등의 악순환을 끊어내고 발목잡기식 공세는 중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8일 학제개편을 둘러싼 논란 끝에 사퇴하자 정의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책임있는 사과가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의당 이동영 대변인은 "박 장관이 조금 전 단 세줄짜리 사퇴의 변을 남기고 물러났다"며 "오늘 아침 윤 대통령이 '국민의 관점에서 모든 문제를 다시 점검하고 잘 살피겠다'고 말했다면 자진사퇴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단호하게 경질해야 마땅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만 5세 취학 학제개편은 시작부터 잘못된 정책"이라며 "(정책) 철회 의사를 분명히 밝히고 후속 조치를 취해야 한다. 박 장관이 물러난 만큼 이제는 윤 대통령이 만 5세 취학 학제개편과 '헤어질 결심'을 할 때"라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8일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사퇴와 관련, "박 장관 한 사람으로 어물쩍 넘어가려고 한다면 국민이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이수진(비례)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 요구에 불응하고 '불통 폭주'를 계속할지, 국민 앞에 책임 있게 사과하고 전면적 인적 쇄신을 비롯한 국정운영 기조의 근본 전환에 나설 것인지 결정하길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원내대변인은 박 장관의 사퇴에 대해 "졸속 정책으로 불필요한 사회적 논란만 일으킨 채 이어진 뒤늦은 '줄행랑 사퇴'"라며 "부적격 인사를 국민 검증도 거부하고 임명 강행한 대통령의 오만·독단이 부른 인사 참사의 결과"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교육 비전문가에 만취운전, 논문 중복게재, 생활기록부 불법 첨삭 의혹 등 수많은 문제점투성이의 박 장관을 임명할 때부터 예견된 일"이라고 꼬집었다. 이 원내대변인은 "하지만 박 장관 사퇴는 대통령실과 내각에 대한 전면적 인적 쇄신을 바라는 국민을 충족하기는 어려운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대통령실을 채운 김건희 여사의 사적 인연과 측근 검사를 사퇴시키고 내각을 채운 대통령 측근들과 지인, 불량 국무위원들을 거둬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