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식 뒤 오찬서 언급…김여사는 유족에 "진짜 죄송하다" "20대 청춘들이 생각나서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나더라" 지난 24일 '서해 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전몰장병들을 호명하기 전 울먹였던 윤석열 대통령은 행사 뒤 이어진 오찬에서 이같이 소회를 전했다고 참석자들이 2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전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에서 제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전 등에서 전사한 55명의 장병 이름을 5분여 동안 차례로 불렀다. 윤 대통령이 호명 직전 손으로 코와 입을 가리며 울먹이는 듯한 모습을 보이자, 이를 지켜보던 유족은 물론 대통령 비서실과 국가안보실 참모들, 군 장성들 상당수도 눈물을 훔쳤다고 한다. 기념식 전에는 묘역을 돌아본 윤 대통령이 비석을 하나씩 살펴보며 전사 당시 나이가 몇이었는지, 지금 살아있으면 몇 살인지 묻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고(故) 민평기 상사의 모친 윤청자 여사 손을 잡고 "진짜 죄송합니다, 어머님"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전사자 이름을 부르며 기리는 이른바 '롤 콜'은 일찌감치 확정된 형식이었다고 한다. 국가보훈처 등이 윤 대통령 뜻을 담아 애초 초안에 반영했고, 대통령실 홍보수석실이 그에 맞춰 전사자 사진과 태극기 등으로 배경 영상도 제작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 독회 때도 전사자 인적 사항을 확인하면서 "전부 스무살, 스물 한살인데 꽃다운 나이에…"라며 말을 잇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2021년 6월 29일 발표한 대선 출마 선언문 첫마디를 "천안함 청년 전준영은 분노하고 있었다"는 말로 시작한 바 있다. 그해 현충일 천안함 생존자 예비역 전우회장인 전씨를 만나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2030세대가 주축이 된 MZ세대 노동조합과의 ‘깜짝 통화’에서 “민주노총의 불법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법·꼼수도 철저하게 감시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근로시간 유연화와 관련해 MZ세대를 중심으로 제기된 반발을 의식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김병민·장예찬 최고위원 등 국민의힘 청년 지도부와 대통령실·고용노동부의 청년세대 관계자는 이날 서울 종로구의 한 호프집에서 MZ노조인 새로고침노동자협의회와 ‘일하는 청년들의 내일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 중 장 최고위원 휴대폰으로 윤 대통령의 전화가 걸려 왔다. 간담회 소식을 들은 윤 대통령이 전화를 걸어 청년들의 이야기를 듣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10여 분간 이어진 스피커폰 통화에서 윤 대통령은 자신의 노동개혁 캐치프레이즈인 ‘노사법치’를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최고위원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노동자들이 겪는 근로 현실 문제와 관련해서도 법과 제도를 제대로 만드는 노사법치가 중요하다”고 했다.MZ노조 관계자들은 사용주에 의한 포괄임금제 오남용과 근로시간 유연화 시 휴가 사용 등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 등을 호소했다. 윤 대통령은 “사용자가 근로자들을 못살게 굴고 편법으로 꼼수를 부리는 것도 정부가 단호하게 바로 잡아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장 최고위원 등에게는 “30대가 주축이 된 청년 당정대(여당·정부·대통령실)와 젊은 근로자들이 대화를 더 많이 하고 소통했으면 좋겠다”고 했다.오형주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8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제2연평해전 등에서 숨진 서해수호 55용사를 차례로 호명하기 전에 감정이 북받친 듯 말을 잇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이 천안함과 제2연평해전, 연평도 포격전 등에서 산화한 55명의 이름을 한 명 한 명 부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우리는 북한의 무력 도발에 맞서 서해를 수호한 용사들의 헌신을 기억하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했다”며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반드시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김범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