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사진)가 7일 미국으로 떠난다. 1년간 조지워싱턴대 한국학연구소에서 남북관계와 국제정치를 공부한다는 계획이다. 이 전 대표는 별다른 배경 설명 없이 “‘인생은 아름답고 역사는 발전한다’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말씀을 되새기고 싶다”고 했다.

대선이 끝난 직후 유력 정치인이 해외에 나가 장기 체류하는 것은 한국 유권자들에게 익숙한 풍경이다. 14대 대선 직후인 1993년 1월 영국으로 출국했던 김 전 대통령을 시작으로 2003년 1월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 2008년 7월 정동영 전 의원, 2012년 12월 안철수 의원 등이 해외로 나갔다. 김 전 대통령을 제외하고는 모두 미국행 비행기를 탔으며,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의 연구를 명분으로 삼았다는 점은 모두 동일하다.

해외 체류를 통해 정치인들은 국내 정치와 거리를 유지하며 정쟁에 이끌려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 실추를 줄일 수 있다. 연구기관에서 시간을 보내는 만큼 차기를 도모하며 내공을 쌓고 있다는 인상도 줄 수 있다. 2년 만에 정치 일선에 복귀해 1997년 대선 승리를 일군 김 전 대통령이 모범적인 사례다.

하지만 다른 정치인들은 해외행을 통해 분위기를 반전하는 데 실패했다. 한나라당을 비운 사이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당내 영향력으로 입지가 좁아진 이 전 총재는 2007년 대선에서 자유선진당을 따로 꾸려야 했다. 정 전 의원 역시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민주당 주류로 자리잡은 친노·친문계에 밀려 대선 가도에서 멀어졌다. 중요 분기점마다 해외를 오가는 ‘공항 정치’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도모한 안 의원 정도가 예외다.

이 전 대표의 미국행이 갖는 기대 효과 역시 민주당 내 역학 관계가 어떻게 정리되느냐에 달렸다. 이재명계가 득세하면 당내에서 기회를 잡기 어렵고, 반이재명계가 주류를 점하면 자연스레 차기 대권을 겨냥할 수 있다. 이낙연계의 한 의원은 “국내 정치 상황에 따라 예정보다 일찍 한국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있다”며 조기 복귀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