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취임 후 첫 영상서 "8월 말까지 전세피해 대책센터 만들겠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현직 장관으로는 처음으로 유튜버로 활동한다. 원 장관은 5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원희룡TV'에 '국토부장관도 당할뻔한 신종 전세사기 수법!! 그 실체와 대책은?'이라는 제목의 13분27초짜리 동영상을 올렸다. 직전 영상을 올린 지 약 2개월 만에 다시 새로운 영상을 올린 것이다. 이날 영상에서 원 장관은 "윤석열 정부의 국토교통부 장관으로 발령받았다"고 인사한 뒤 "유튜버로 겸직허가를 받았다"고 소개했다. 그는 "국무총리로부터 (유튜버 겸직)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허가 조건은 국제정세나 경제 상황, 생활밀착형 콘텐츠는 다 괜찮고, 대신 지나치게 정치적인 발언은 하지 않다는 단서가 달렸다"고 전했다. 그는 "국민들과 새로운 미디어를 통해 활발히 소통하는 것은 오히려 장려할 일이라고 했다. 여러 장관 중 유튜버 겸직 장관으로서 여러분들 앞에 섰다"며 "정부와 국민이 충분히 소통하고 함께 나눌만한 콘텐츠로 찾아뵙겠다"고 약속했다. 원 장관은 유튜버 활동에 대한 일각의 우려를 의식한 듯 "'장관이 일이나 똑바로 하지 무슨 유튜브야'라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시죠?"라고 물은 뒤 "시대에 뒤처지신 거다. 커뮤니케이션이 잘되고 국민에게 전달이 돼야 정책도 있는 거고 사업도 있는 거다. 국민과 통하는 정부가 돼야 제대로 일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영상에서 최근 사회초년생과 신혼부부 등을 대상으로 기승을 부리는 전세 사기의 대표적인 유형과 정부 대책을 설명했다. 그는 신축빌라 전세 사기에 대해 경찰과 협력해 집중적인 수사와 단속을 벌이겠다고 밝힌 뒤 부동산
대통령 소속위 20곳 연평균 예산 33억원…"고비용 저효율 심각 평가"국가균형발전위·자치분권위 통합…"위원장 1명이 직 고수" 김사열 균발위원장 지목 위원회 폐지엔 법개정 필요…대통령실, 野반발 가능성에 "국회도 취지 이해 기대" 대통령실은 5일 대통령 소속 위원회를 최대 70%까지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혁신과 함께 정부 소속 위원회를 줄인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방침에 따라 대통령 소속위도 솔선수범 차원에서 더 과감하게 대수술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위원회를 폐지하려면 국회 동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른바 '알박기'냐 '찍어내기'냐를 놓고 야당과 충돌도 예상된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용산 청사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20개)·국무총리(60개)·부처(549개) 소속 위원회 총 629개의 정비 계획을 밝혔다. 위원회는 전임 문재인 정부 당시 73개가 추가되면서 631개까지 늘어났다가 새 정부 들어 대통령 소속 일자리위원회·정책기획위원회 등 2개가 폐지된 상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 부처 기준 (위원회) 30∼50%를 줄이고 대통령 소속 위원회는 그것보다 훨씬 많이 줄일 예정이다. 60∼70% 가까이 줄일 것 같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설명대로라면 정비 후에는 6개가량만 남는 셈이다. 대통령실에선 어느 위원회를 통폐합할지 분류 작업을 진행 중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기존의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자치분권위원회의 경우 "기능 유사한 위원회는 통합을 준비하고 있다"며 "두 위원회는 통합 운영하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임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김순은 자치분권위원장은 오는 6일 임기 1년반을 남기고 퇴임했으며, 김사열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의 경우 임기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김창룡 경찰청장의 사의 표명에 따른 면직을 건의했으며, 윤석열 대통령이 5일 김 청장의 면직안을 재가했다.김 청장은 행안부가 이른바 '경찰국' 신설 등 경찰에 대한 통제를 강화한다는 방침을 공식화한 지난달 27일 임기를 26일 남기고 사의를 표명했다.경찰 통제안에 대한 조직 내부 반발과 치안감 인사 번복 논란을 둘러싼 윤 대통령의 '국기문란' 질책에 책임을 지는 차원으로 받아들여졌다. 윤 대통령은 김 청장의 사표 수리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 이후로 미뤘었다.이 장관은 아울러 이날 윤희근 경찰청 차장을 신임 경찰청장으로 임용 제청했으며,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이 제청안을 승인했다고 말했다. 차기 경찰청장 후보자인 윤 차장은 이날 10명 규모의 인사청문회 준비팀을 구성해 국회 인사청문회 준비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경찰대 출신인 윤 후보자는 현 정부에서 비(非)경찰대 출신을 선호할 것이라는 전망을 뒤엎고 낙점됐다. 치안감을 달고 반년도 되지 않아 치안정감으로 초고속 승진한 그는 경찰청 차장 보임 뒤, 한 달도 안 돼 치안총감인 경찰청장 내정자로 직행하게 됐다.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