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2년간 코로나 정치 방역을 했냐는 질문에 "과학 방역을 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그간의 'K-방역'을 '정치방역'으로 규정하고 '과학적 방역'을 내세운 것에 대해 반박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정 청장은 17일 오전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지난 2년간 코로나 정치방역했냐'는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 질문에 "백신이나 치료제 등은 임상시험을 거쳐 근거를 갖고 정책을 추진하고, 거리두기나 사회적 정책들은 사회적 합의나 정치적인 판단이 들어가는 정책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걸(과학방역과 정치방역을) 구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신 의원은 '문재인 정부 방역과 새 정부의 방역 간 과학적인 근거 차이가 있는지 국민들이 궁금해한다'고 질문하자 정 청장은 "코로나 유행 초기에는 알고 있는 지식이 많지 않아 과학적 근거가 낮았다"며 "현재는 알려진 근거가 많아 체계적으로 방역할 수 있기 때문에 지식의 차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올가을께 코로나가 악화될 수 있다는 전망에 대해선 "위험 요인 신종변이 출연, 시간이 지나면서 면역도가 떨어지는 부분, 계절적 요인, 대면접촉 증가 등의 유인으로 언제든지 재유행 가능성이 있다"며 "대부분 국가가 고위험군 보호 목적으로 (추가백신) 접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변수를 고려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답변했다.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새 질병관리청장에는 백경란 교수를 임명했다.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국회 복지위 출석…"초기엔 과학적 근거 낮았지만 현재는 체계적 방역"가을 코로나 악화 가능성엔 "재유행 가능성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7일 "(지난 2년간 질병청은) 과학 방역을 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청장은 이날 오전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지난 2년간 코로나 정치방역했냐'는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 질문에 "백신이나 치료제 등은 임상시험을 거쳐 근거를 갖고 정책을 추진하고, 거리두기나 사회적 정책들은 사회적 합의나 정치적인 판단이 들어가는 정책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걸(과학방역과 정치방역을) 구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그간의 'K-방역'을 '정치방역'으로 규정하고 '과학적 방역'을 내세운 것에 대해 반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재인 정부 방역과 새 정부의 방역 간 과학적인 근거 차이가 있는지 국민들이 궁금해한다'는 신 의원 질문에 정 청장은 "코로나 유행 초기에는 알고 있는 지식이 많지 않아 과학적 근거가 낮았다"며 "현재는 알려진 근거가 많아 체계적으로 방역할 수 있기 때문에 지식의 차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올가을께 코로나가 악화할 수 있다고 보냐'는 질의에는 "위험 요인 신종변이 출연, 시간이 지나면서 면역도가 떨어지는 부분, 계절적 요인, 대면접촉 증가 등의 유인으로 언제든지 재유행 가능성이 있다"며 "대부분 국가가 고위험군 보호 목적으로 (추가백신) 접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변수를 고려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새 질병관리청장에는 백경란 교수를 임명했다. /연합뉴스
정부가 화물차와 택시 등 경유차량으로 생계를 잇는 사업자들에게 적용하는 경유 유가연동보조금의 기준금액을 L(리터)당 1천750원으로 낮추기로 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17일 국회 국토교통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경윳값이 많이 오르면서 경유에 대한 유류세 연동보조금의 지급 기준이 1천850원으로 높아서 이를 1천750원으로 낮춰 직접 지원을 늘리도록 기획재정부와 합의했다"라고 말했다. 이 같은 조치는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보다 가파르게 오른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경유 가격 급등에 따라 유류세 인하 30%가 적용되는 5월부터 7월까지 기존 유가보조금 수급 대상인 화물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경유 유가연동보조금을 한시적으로 운영 중이다. 유류세 인하에 따른 유류세 연동보조금 감소분 중 일부를 유가연동보조금으로 메워주는 것이다. 현재 경유 유가연동보조금은 경유 가격이 L당 1천850원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기준가격 대비 초과분의 50%를 정부가 부담하는 방식인데,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지난 15일 경제장관간담회에서 "운송·물류업계의 부담을 완화하고자 경유 유가연동보조금 지급 기준가격(L당 1천850원)을 인하하기로 했다"고 한 바 있다. 지급 기준가격을 낮추는 것은 유가연동보조금 지급액을 늘리는 효과를 낸다. 일례로 경유 가격이 L당 1천950원일 때 지급 기준 기준 가격이 1천850원이라면 50%인 L당 50원을 지급하는 것이지만 1천750원이 되면 L당 100원을 주게 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