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 찍히고 경보 울렸는데도…월북 못 막은 軍
새해 첫날 월북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군이 감시장비로 포착하고도 이를 3시간 가까이 몰랐던 것으로 드러나 대북 감시망에 또다시 허점이 노출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군이 우리 국민으로 추정되는 1명의 월북 사실을 처음 인지한 건 전날 오후 9시 20분께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포착되면서다.

군은 당시 열상감시장비(TOD)로 비무장지대(DMZ)에 있던 월북자를 포착해 작전 병력을 투입했지만, 신병 확보에 실패했다. 월북자는 DMZ에서 포착된 지 1시간 20분만인 오후 10시 40분께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월북한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군이 뒤늦게 인지하고 신병을 확보하려 했지만, 늦었다. MDL까지 접근하기 위해선 이남의 GOP 철책을 넘어야 하는데, 그 철책을 넘은 이후엔 월북을 저지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군은 월북자가 철책을 넘은 뒤 3시간이 다 되도록 이를 알지도 못했다.

월북자가 DMZ에서 포착된 이후에야 이전에 찍힌 CCTV를 다시 돌려봤고, 같은 날 6시 40분께 22사단 GOP(일반전초) 철책을 넘는 장면이 찍힌 사실을 뒤늦게 확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CCTV 감시병이 포착 당시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다는 게 합참의 설명이다.

비슷한 시각 철책에 설치된 광망(철조망 감시센서) 경보도 '정상 작동'했던 것으로 현재까지 파악됐다.

최전방 GOP에 설치된 광망은 사람이나 동물이 철책을 넘거나 절단할 때 경보음이 울려 즉각적인 경계 병력 투입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 CCTV 등과 함께 '과학화 경계 시스템'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합참 관계자는 "(월책) 당시 광망 경보가 울려 초동조치 병력이 (해당) 철책으로 갔지만 '이상이 없다'고 보고한 뒤 철수했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CCTV와 광망 경보를 통해 이중으로 포착하고도 허술한 초동조치로 월북을 저지하지 못한 셈이다.

당시 초동조치 부대가 자체적으로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고 지휘부에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군 관계자는 전했다.

이번 월북 사건은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병력을 철수시킨 GP(감시초소) 인근에서 발생했다.

합참 관계자는 "(월북자가) 우리 GP 좌측에서 감시 장비에 포착됐다"면서 "해당 GP는 (인원을 철수한 후) '보존GP'로 유지되고 있고, 그 GP에 CCTV를 보강했고, 그 인근 보급로 상에서 열상감시 장비로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사건이 발생한 22사단은 2020년 11월 북한 남성이 철책을 넘어 귀순했을 당시 광망이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드러나 한 차례 논란이 됐던 부대다.

이후 예산을 투입해 대대적 보강작업을 했지만, 이번엔 장비 정상 작동에도 월북자를 놓쳐 '최첨단 장비'와 무관하게 해당 부대의 경계작전 자체에 큰 구멍이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합참 관계자는 "초동조치 과정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확인했다면 하는 미흡한 부분은 있었다"며 현재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기 위해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에서 현장에 급파됐다고 전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