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광역자원회수시설(생활폐기물 소각장) 입지선정위원회는 올해 하반기 입지 후보지 30여 곳 가운데 최적 후보지를 발표한다고 3일 밝혔다. 지난달 30일 열린 제10차 입지선정위원회에서는 관련 법규 저촉 여부, 지하공간 설치가 어려운 입지 등 후보지 배제 기준을 의결했다. 시 관계자는 "당초 후보지 선정을 지난달 30일 완료하려 했으나 선택지가 많아, 배제 기준을 정하고 솎아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열리는 입지선정위원회에서는 한국종합기술에서 진행하는 입지 후보지 타당성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 입지 후보지를 선정해 서울시에 통보한다. 서울시는 내부 절차를 거쳐 후보지를 하반기에 공개할 계획이다. 현재 서울은 강남·노원·마포·양천구에 광역자원회수시설 4곳을 운영하고 있으나 소각 용량이 부족해 2021년 기준 하루 900t가량을 인천의 수도권매립지에 매립했다. 인천시가 2025년 이후에는 서울·경기 쓰레기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2026년부터는 수도권 내 생활폐기물 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추가 소각장 건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서울시는 2019년 두 차례에 걸쳐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를 공모했으나 신청지가 없었다. 이후 시는 2020년 12월 주민대표와 전문가, 시의원 등으로 구성된 입지선정위원회를 꾸려 하루 1천t 규모 광역자원회수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환경부는 이달 1일 생활폐기물 매립량이 많은 서울시 등 수도권 10개 시에 소각장 설치를 촉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연합뉴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은 3일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특성상 해외발 충격이 물가·금융 시장을 넘어 수출·투자 등 국내 실물경기로 파급될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당초 일정보다 앞당겨 일요일인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회의를 연 추 부총리는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데는 주말도 휴일도 없다”면서 “정부는 긴 호흡으로 우리 경제가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헤쳐나갈 수 있도록 그 어느 때보다 비상한 각오로 솔선수범하면서 가용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그는 “어려운 대외 여건 속에서 실물지표 상으로는 국내 경기의 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판단된다”면서도 “해외 변수의 국내 파급 영향이 더욱 강해지면서 물가 오름세와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데다 향후 경기 흐름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고 경계했다.이어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물가와 실물경기, 금융시장 상황을 매월 한 차례 이상 종합 점검해 경제 상황에 대한 부처 간 인식 공유를 강화하겠다”며 “물가뿐 아니라 수출·투자·소비 등 애로가 발생하는 부문에 대해서는 전 경제팀이 하나가 돼 해결책을 제시하는 등 신속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