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방, '한국 방위공약' 재확인할듯…확장억제·3국 안보협력 등 의제양국 장관 회담후 공동기자회견…'핵위협' 北에 경고메시지 촉각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와 연쇄 도발로 엄중해진 한반도 정세 속에 한미 국방부 장관이 석 달 만에 다시 만나 확장억제력 강화 방안 등을 협의한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31일 회담을 하고 양국 국방 현안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한미 국방장관회담은 작년 11월 미 국방부에서 열린 제54차 한미안보협의회(SCM) 이후 약 3개월 만이다. 오스틴 장관은 이번 회담에서 미국이 한국에 약속한 '철통같은 방위 공약'을 거듭 확인하고, 확장억제력 이행 방안 등에 대한 미측의 의견을 개진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한국 내에서 급속히 제기되는 '독자적인 핵무장' 여론과 일각에서 미측 확장억제 공약을 '찢어진 핵우산'에 비유하며 우려하는 목소리를 해소하려는 미측의 노력을 이 장관에게 설명할지도 주목된다. 양국 장관은 회담에서 다음 달 미국에서 열리는 한미 확장억제수단운용연습(DSC TTX) 준비를 점검하는 등 작년 SCM에서 합의한 확장억제 실행력 신뢰성 제고 방안과 그 이행에 관해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양국은 확장억제 신뢰도 제고를 위해 '상시 배치 수준의 전략자산 전개'와 연합훈련 강화에 합의한 바 있다. 한미일 미사일 경보 실시간 공유를 비롯한 3국 안보협력 강화 방안도 주요한 의제로 꼽힌다. 오스틴 장관은 앞서 이달 미국에서 열린 미일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면서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공조와 우크라이나 지원 등도 예상 의제로 거론된다. 회담
해군 함정이 임무 중 고장이 났다고 허위 보고하고 조기 입항한 사실이 드러나 당시 함장 등 승조원들이 수사를 받고 있다. 30일 해군에 따르면 1천500t급 해군 호위함 전남함이 작년 6월 임무 중 고장이 났다고 허위로 상부에 보고하고 가까운 기지로 입항한 정황이 드러나 A 함장과 정비 계통 승조원들이 해군 군사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이러한 '군기문란' 행위는 해군 감찰을 통해 사실관계가 일부 파악됐으며 군사경찰이 감찰을 바탕으로 수사에 착수했다. 초기 수사에서 A 함장과 실무자들은 상대방에게 허위 보고의 책임을 전가하는 등 서로 진술이 엇갈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군은 혐의가 사실로 드러난다면 심각한 기강해이에 해당하므로 법과 규정에 따라 엄중히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1989년 취역한 전남함은 작년 말 퇴역했다. /연합뉴스
내일 한미 국방장관회담…확장억제력 이행 방안 등 협의도착후 트윗 "인태지역서 공통 안보 우선순위 발전 경로 제시 기대"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이 30일 오후 오산공군기지에 도착했다. 오스틴 장관은 '나이트 워치'로 불리는 보잉 747기종 E-4B 미 공군기로 이날 오후 4시 30분께 오산기지에 착륙했다. 활주로에서 폴 J 러캐머라 주한미군 사령관, 잭 러브 주한미군 주임원사, 조슈아 우드 미 51전투비행단장(대령) 등의 영접을 받았다. 오스틴 장관은 미군 관계자들과 악수한 후 곧바로 대기 중이던 블랙호크 헬기에 탑승해 오후 4시 50분 오산기지를 이륙했다. 그는 한국 도착 직후 공식 트윗 계정에 "오산공군기지에 내렸다"며 "회담 상대(이종섭 국방부 장관을 가리킴)와 다른 정부 고위 관계자들을 만나 인도태평양에서 우리의 공통된 안보 우선순위들을 발전시키는 야심찬 경로를 그리기를 고대한다"는 글을 올렸다. 그가 타고 온 E-4B는 보잉 747-200B 제트기를 군용으로 개조한 항공기다. 프로젝트명 '나이트워치'로도 불리는 이 항공기는 대통령, 국방부 장관, 합참의장 등이 공중지휘본부로 이용할 목적으로 개발됐다. 미국 본토가 핵 공격을 받았을 때 공중에서 핵전쟁을 지휘하는 통제본부 역할을 할 수 있다. 공중에서 전군에 직접 명령을 내리는 등 '하늘의 펜타곤'으로서 핵전쟁 수행 능력을 갖춘 공중지휘통제기로 기능이 확대되면서 '최후 심판의 날 항공기'(Doomsday Plane)라는 별칭도 얻었다. 기체는 핵폭발이나 전자기펄스탄(EMP탄)의 공격에도 완벽하게 작동하도록 특수물질로 제작됐다. 오스틴 장관은 31일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회담하고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 방안 등 양국 안보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