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운동가 출신의 4선 진보 정치인…지난 대선 때 6.17% 득표

진보 진영의 '간판'인 정의당 심상정(62) 의원이 12일 대선 후보로 선출되면서 4번째 대권 도전에 나서게 됐다.

내년 3월 대선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간 박빙 대결로 흐를 것이란 전망이 많이 나오는 가운데 진보 이슈 부각을 통해 정의당만의 색깔을 보여주면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둬야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좌클릭한 민주당이 개혁 정책을 선점, 정치적 활동 공간이 위축된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또 심상정이냐"는 비판을 돌파하는 급선무라는 지적도 나온다.

심 의원이 1차 투표에서 과반을 얻지 못한데 이어 결선에서도 과반을 가까스로 넘기며 이정미 전 대표에게 신승한 것 자체가 진보 진영내 달라진 여론 지형을 보여준다는 분석이 많지 않다.

네번째 대권 도전하는 심상정…최대 과제는 "또 심상정이냐"
◇ 노동운동가 출신의 4선 진보 정치인
2004년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로 여의도에 입성한 심 의원은 노동운동가 출신이다.

그는 1978년 서울대 역사교육과에 입학 후 학생운동에 투신, 서울대 최초로 총여학생회를 만들기도 했다.

이어 1980년에는 미싱사 자격증을 획득해 구로공단 등의 공장에 취업했다 해고되기를 반복했다.

이후 1985년 6월 구로지역 노조들의 동맹파업 사건의 주동자로 지명수배돼 1993년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이력이 있다.

원내에서는 진보정치 확장에 공을 들였다.

특히 17대 국회 때 삼성의 편법·탈법·불법 행위와 론스타의 외환은행 인수 문제를 지적, 활약하면서 이름을 얻었다.

진보성과 대중성을 토대로 군소 진보정당에서는 불가능에 가까웠던 지역구(고양 덕양갑) 의원이 되기도 했다.

그는 2012년 19대부터 현재까지 이 지역에서 내리 당선, 진보 정치인으로 4선 고지까지 올랐다.

그는 진보정당 내에서도 여러차례 대표를 맡으며 굵직한 궤적을 남겼으나 부침도 있었다.

2007년 민노당 분당 사태 후 2008년 '정치 파트너'인 고(故) 노회찬 전 의원과 진보신당을 창당하고 대표를 지냈다.

진보대통합' 논의가 활발해진 2011년 말 민주노동당과의 통합이 무산되자 다시 노 전 대표와 함께 진보신당을 탈당하기도 했다.

그는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과 함께 통합진보당을 창당해 공동대표직을 맡았다.

그러나 통합진보당이 2012년 부정경선 파문에 휩싸이자 책임을 지고 대표직을 사퇴했으며 파문의 당사자인 김석기 전 의원 등에 대한 제명안이 의원총회에서 부결되자 탈당, 진보정의당(현 진보당) 창당을 주도했다.

심 의원은 2020년 총선을 둔 2019년 더불어민주당 등과 연동형 비례대표제 관철을 위해 이른바 4+1 협의체에서 활약했으나 여야 거대 양당이 비례 위성정당을 창당하면서 진보정당 최초의 원내교섭단체를 만들겠다는 노력이 좌절됐다.

리더십 타격으로 대표를 관둔 뒤 잠행하던 그는 이번 대선에 다시 도전장을 냈다.

2007년 대선 경선 패배, 중도하차했던 2012년 대선, 6.17%를 득표한 2017년 5월 대선에 이어 4번째다.

네번째 대권 도전하는 심상정…최대 과제는 "또 심상정이냐"

◇ "불판 갈겠다"고 나왔으나 "또 심상정이냐" 과제
심 의원은 지난 8월말 "34년 낡은 양당 체제 불판을 갈아야 한다"고 천명하면서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노 전 대표가 17대 국회 때 주로 사용했던 이른바 '불판론'을 다시 꺼내 든 것이나 "또 심상정이냐"는 말도 나온다.

실제 심 의원은 지난 6일 대선 경선에서 무난하게 과반 득표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으나 실패했고 결국 이정미 전 대표와 결선 투표까지 하게 됐다.

당시 이 전 의원은 "심상정이 아닌 이정미를 뽑는 게 대선 전략"이라면서 표심을 파고들었다.

정치 지형 역시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 전까지 정의당은 진보 정당으로 민주당의 좌클릭을 견인하는 역할을 해왔으나 탄핵 이후 개혁 이슈를 민주당이 상당히 흡수, 정의당의 활동 공간이 위축된 상황이다.

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이른바 '기본 시리즈'로 개혁 정책을 선도하고 있는 가운데 진보 이슈로 차별화하면서 존재감을 분명히 하는 게 심 의원의 과제다.

나아가 민주당과 국민의힘 간의 대결이 막상막하로 흐를 경우 진보 진영에서 '중도 하차' 압박이 강하게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향후 부담이 될 전망이다.

대선이 1~2%포인트 차이로 승부가 결정 나는 구도로 갈 경우 여야 일대일 구도 구축을 명분으로 한 사퇴 요구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