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9일 각각 개최…증인·참고인은 추후 간사 간 협의키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21일 전체회의에서 김형두(58·사법연수원 19기)·정정미(54·사법연수원 25기) 헌법재판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를 오는 28일과 29일 각각 열기로 의결했다. 법사위는 김 후보자에 대해선 54개 기관 1천520건, 정 후보자에 대해선 55개 기관 1천348건의 자료 제출 요구도 의결했다. 이번 인사청문회에 출석할 증인 및 참고인에 대해선 여야 간사 간 협의를 통해 결정할 방침이다. 앞서 김명수 대법원장은 지난 6일 퇴임을 앞둔 이선애·이석태 헌법재판관의 후임으로 각각 김 후보자와 정 후보자를 지명한 바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인사청문회가 끝나면 두 후보자를 헌법재판관으로 임명한다. 윤 대통령이 임명하는 첫 헌법재판관이다. 대통령·대법원장 지명 몫의 헌법재판관은 대법관과 달리 국회 동의가 필요하지 않아 본회의 표결을 거치지 않는다. /연합뉴스
과방위서 野단독 본회의 직회부 요구안 의결에 與 "법사위 권한 침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21일 전체 회의에서 여야는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통과한 공영방송지배구조개선법안의 본회의 직회부 요구안을 두고 공방을 벌였다. 국민의힘 소속 김도읍 법사위원장은 이날 오후 전체 회의에서 "(본회의 직회부 요구는) 분명히 불법, 위법이다. 국회법 86조3항 위반"이라며 "법사위 여야 위원들은 공히 법안 심사권을 지금 침해당한 것"이라며 유감을 표했다. 김 위원장은 "법사위 민주당 위원들은 왜 일언반구, 본인들의 심사권이 침해되는 데도 불구하고 가만 계시는지 유감"이라며 "앞으로 이런 일이 재발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덧붙였다. 여당 법사위 간사인 정점식 국민의힘 의원은 의사진행발언에서 "민주당의 입법 폭주가 점입가경"이라며 "법사위의 소위 체계 자구 심사권 자체를 침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법사위 전체 위원들이 뜻을 모아서 강력하게 항의해야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민주당 간사를 맡고 있는 기동민 의원은 "(방송법 처리를 위해) 안건조정위도 구성해보고 안건조정위에서 무소속 의원이 수정안도 내보고 타협과 절충을 거쳐 생산적인 대안을 만들어 내려고 노력했지만 결국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기 의원은 "이런 일(본회의 직회부)이 자주 반복되는 건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여당의 일방적인 보이콧으로 총의가 모이지 않으면 (법안 처리를)할 수 없는 건 잘 알고 계실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여당에서 최소한의 성의는 보여야 한다"며 "절충안에 대해 일언반구 말씀도 주시지 않는 분들이 국민의힘 집권여당"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국회 과학기술정
국회가 21일 여당과 야당, 정부 관계자 및 민간 연금 전문가를 한데 모아 연금제도 개혁 대토론회를 열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이 자리에서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15%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을 현행 40%로 유지할 경우, 기금 고갈 시점이 14년 늦춰진다는 추계를 발표했다. 현재 9%인 보험료율을 15%로 인상하는 방안은 앞서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민간자문위가 논의한 개혁안 중 하나다.김진표 국회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연금제도 어떻게 개혁할 것인가? 전망과 대안’ 토론회 개회사에서 “연금개혁은 정치권이 필요하면 하고, 아니면 안 하는 선택사항이 아니다”며 “혹시 정치권이 눈앞에 다가오는 선거를 의식해 연금개혁을 망설인다면 (국민이) 호되게 질책하고 정치권의 결단을 재촉해달라”고 말했다.연금특위 위원장인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참석해 ‘타협’을 강조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이 연금개혁에 의지가 있고, 더불어민주당도 적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위에서 어느 정도 합의를 이루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다음달 만료 예정인 특위 기한을 여야가 합의해 연장하겠다고도 했다.이정은 국회예산정책처 추계세제분석실장은 그동안 특위에서 거론된 공적연금 개혁안을 시나리오별로 분석한 추계 결과를 발표했다. 특위 산하 자문위는 국민연금의 보험료율을 15%로 올리되, 소득대체율을 현행대로 유지하는 안(A안)과 50%로 인상하는 안(B안) 등을 놓고 의견이 엇갈렸다. 수치를 놓고 여론이 들썩이자 국회는 아예 모수개혁을 접기로 했다.국회예산정책처는 A안으로 개혁하면 국민연금 기금 고갈 시점은 현 제도를 유지할 때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