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혈맹' → 한중수교로 '단절' → 핵실험에 '급랭' → 2018년부터 '밀월'
북미정상회담 전후 지도자 오가며 관계 급진전…美압박에 북중 밀착으로 응수

북한과 중국은 6·25전쟁과 냉전, 데탕트, 신냉전 등 지난 수십 년간 국제 정세의 파고 속에서 밀착과 경색의 부침을 되풀이해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초기까지만 해도 냉랭하던 북중관계는 최근 4년 새 급진전했고 미중 갈등이 깊어질수록 북중은 한층 끈끈한 관계로 발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오는 11일에는 '조중 우호, 협조 및 호상 원조에 관한 조약'(이하 북중우호조약) 체결 60주년을 맞게 되면서 양국관계의 특수성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북중우호조약60년] 밀착과 경색의 반복…미중갈등 속 친선 강화
북중 관계의 시작점은 194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북한은 중국 제2차 국·공 내전 당시 공산당이 패퇴하는 상황에서 마오쩌둥(毛澤東)을 지원했고, 중국은 6·25 전쟁에서 북한의 전세가 불리해지자 개입하면서 양국은 명실상부 '피로 맺은 친선', 즉 혈맹이 됐다.

양국은 냉전 시대에 군사적으로는 물론 정치·경제적으로 떼어놓을 수 없는 친밀한 관계로 거듭났다.

1961년 7월 11일에는 김일성 북한 주석이 베이징을 방문해 저우언라이(周恩來) 당시 총리와 체결한 북중우호조약이 가장 상징적이다.

북중우호조약 제2조에서는 "일방이 어떠한 국가 또는 국가 연합으로부터 무력 침공을 당해 전쟁 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 상대방은 모든 힘을 다해 지체 없이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군사 자동개입' 조항을 통해 북중을 하나의 군사·안보 공동체로 묶은 셈이다.

양국은 1970년 '경제·기술 원조 협정', 1971년 '무상 군사원조 협정' 등을 체결하며 끈끈한 관계를 이어갔다.

1982년에는 덩샤오핑(鄧小平) 전 주석과 후야오방(胡耀邦) 전 공산당 총서기가 방북해 김일성 주석의 생일을 축하하기도 했고, 김 주석도 여러 차례 방중했다.

[북중우호조약60년] 밀착과 경색의 반복…미중갈등 속 친선 강화
양국관계의 위기는 1990년대 탈냉전기에 찾아왔다.

소련이 붕괴하고 데탕트의 기운이 불자 중국은 개혁개방에 나서면서 실용주의 외교를 택했다.

1991년 북중간 교역을 일방적인 대북 지원에서 경화 결제 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통보했으며, 양국 관계도 혈맹에서 정상적 국가 관계로 돌리겠다고 밝혔다.

뒤이어 1992년 8월 중국은 남한과 수교를 해 북한에 충격을 안겼다.

1994년에는 김일성 주석이 사망하면서 양국 관계를 지탱하던 최고지도자 간의 우의도 사실상 완전히 끊겼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야 양국 관계가 차츰 회복됐다.

2000년 5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비공식 방중했으며, 2001년과 2004년, 2006년, 2010년, 2011년 등 8차례에 걸쳐 중국을 방문했다.

중국도 2001년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 2005년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이 북한을 차례로 찾으면서 화답했다.

그렇다고 해서 북중이 종전과 같은 관계로 돌아간 것은 아니었다.

특히 김정은 위원장 집권 초중반에는 양국의 삐걱대는 관계가 단적으로 드러났다.

북한은 2012년 12월 광명성 3호 위성을 쏘아 올렸고, 이듬해 2월에는 3차 핵실험을 강행했다.

시진핑(習近平) 지도부 공식 출범을 코앞에 두고 벌어진 미사일과 핵실험 도발에 중국은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았다.

2014년 시 주석은 공산당 총서기 가운데서는 최초로 북한보다 남한을 먼저 찾았다.

또 중국은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에 대응하는 유엔 대북 결의안 2087호와 2094호 채택에 찬성했을 뿐 아니라 해당 부처에 철저한 집행도 지시하며 응수했다.

[북중우호조약60년] 밀착과 경색의 반복…미중갈등 속 친선 강화
끝 간 데 없이 깊어지던 북중 갈등은 2018년을 기점으로 급반전됐다.

김 위원장이 2018년 3월 처음 중국을 찾았고, 그간의 공백을 메우기라도 하듯 2019년 1월까지 연달아 네 차례 중국을 방문했다.

시 주석도 2019년 6월, 중국 최고지도자로서는 14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에는 직접 교류가 줄어들었지만 활발한 축전과 대사 간 교류로 공백을 메우는 모습이다.

60년 전 모습을 보는 듯한 북한과 중국의 밀착은 미중 갈등으로 신냉전이 거론되는 현 정세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북중정상회담이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2019년 6월 남북미 판문점 회동 등을 전후해 이뤄진 것 역시 이 같은 양국의 속내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북한은 미국이 제재로 압박하더라도 중국만 뒤에 두면 이를 회피할 수 있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 제재도 막을 수 있다.

중국 입장에서도 북한이 미국과 단독으로 협상하면서 북핵 문제에서 영향력을 잃는 것을 바라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미중 갈등 구도가 이어지는 한 북중 밀월관계는 한층 끈끈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