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질환·암 환자 등 100만명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추진
'한국인의 암' 빅데이터 만든다…2025년 의료데이터 플랫폼 구축
정부가 위암과 대장암, 폐암 등 한국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암의 임상 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하는 'K-캔서(Cancer·암)' 사업을 추진한다.

이후에는 'K-심뇌혈관'. 'K-호흡기(신종감염병 포함)' 등으로 보건의료 데이터를 확장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3일 이런 내용의 보건의료 데이터·인공지능 혁신전략을 제12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 보고했다.

복지부는 우선 한국인 호발 암종 정보와 신체 부착형 기기에서 수집되는 개인생성건강데이터(PGHD) 등 현장 요구가 많고 활용성 높은 분야를 우선으로 표준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건강보험 등을 통해 보건의료 공공데이터를 한해 5천건 개방하고, 'K-Cancer' 빅데이터를 시작으로 심뇌혈관 질환, 신종감염병을 포함한 호흡기 질환 관련 빅데이터를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복지부는 2025년까지 유전체 등 바이오 정보, 병원 임상기록, 공공보건의료데이터를 중심으로 3대 원천 데이터 플랫폼을 완성하겠다는 계획도 마련했다.

총 100만명(희귀질환 10만명, 암 10만명, 난치질환 20만명, 만성질환자 및 건강인 등 60만명) 규모의 통합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해 맞춤형 치료·정밀의료 등에 활용하고, 이를 임상·유전체·건강보험·개인건강기록(PHR, Personal Health Record) 등과 연계해 고부가가치 국가 전략자산화를 추진한다.

안전한 데이터 제공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데이터 중개·분양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데이터 제공·활용 기관이 꼭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제공·활용할 수 있도록 컨설팅 지원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주요 공공기관과 의료데이터중심병원 등 빅데이터 보유 기관 등을 '안심분양센터'로 지정하는 방안이 우선 추진된다.

복지부 장관은 "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생태계를 갖추는 것은 환자 치료 등 의료혁신, 신약개발 등 산업혁신, 국민 권익 증진 등 사회혁신을 가속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