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 '접종 이득이 부작용 상회' 판단…"유럽선 접종 진행 결정"
정부 "얀센백신 도입준비…접종 연령제한 국내상황 고려해 검토"
유럽의약품청(EMA)이 얀센(존슨앤드존슨)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계속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정부도 예정된 물량 도입에 나섰다.

배경택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 상황총괄반장은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EMA의 지난 20일 얀센 백신 평가 결과 발표를 거론하면서 "유럽 국가는 얀센 백신 접종을 진행하기로 했고 제조사인 존슨앤드존슨사 측도 각 국가에 대한 물량 공급을 재개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도 예정된 물량의 도입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제약사와 직접 계약을 통해 확보한 얀센 백신은 총 600만회분이다.

정부는 2분기부터 이 백신을 순차 도입한다고 발표했으나, 구체적인 도입 시기와 일정, 물량 등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

추진단은 앞으로 예방접종전문위원회를 통해 얀센 백신의 접종 대상과 접종 기준 등을 심의할 예정이다.

EMA는 앞서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희귀 혈전증'을 얀센 백신의 매우 희귀한 부작용으로 분류하고, 제품설명서에 등록하도록 권고했다.

이는 미국에서 지날 13일까지 얀센 백신을 접종한 700만명 중 8명에서 특이 혈전증이 발생한 것을 근거로 내린 결론이다.

이 8명은 모두 60대 미만이고 대부분 여성이었는데 접종 후 3주내에 희귀 혈전이 발견됐다.

EMA는 다만 이 부작용이 매우 드물고 백신 접종으로 인한 코로나19 예방 효과가 부작용의 위험을 능가한다고 평가하면서 각국의 코로나19 발생 상황과 백신 수급 상황을 고려해 얀센 백신을 사용할 수 있다고 결론내렸다.

이는 EMA가 앞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에 대해 내렸던 평가와 유사한 것이다.

얀센 백신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모두 '바이러스 전달체' 방식의 백신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 형태의 백신이 희귀 혈전증 생성과 관련 있는 게 아니냐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박영준 추진단 이상반응조사지원팀장은 "가설을 제기한 정도의 단계"라며 "가설이 인정되거나 기각되는 상황은 아직 아니고, 추가 연구나 감시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박 팀장은 두 백신의 접종 중단을 고려할 수 있냐는 질의에는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희귀 혈전증과 관련해 많은 국가에서 접종 이익 대비 위험도를 비교 평가해 연령 제한을 두는 방식으로 접종 기준을 변경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로 이 질환의 발생률을 연령대별로 보고, 국내 발생 상황도 고려해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정부 "얀센백신 도입준비…접종 연령제한 국내상황 고려해 검토"
한편 정부가 백신 공동구매 국제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5월 중 받기로 했다고 밝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66만8천회분의 구체적인 도입 시기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추진단은 접종 간격을 고려하면 상반기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자가 95만명, 화이자 백신 2차 접종자가 286만명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김기남 코로나19 추진단 예방접종관리반장은 상반기 2차 접종자 예상 규모에 대해 "(두 백신 접종자를) 합해서 한 380만명 정도로 추계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