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청 갈등 최소화, 국정과제 안정적 마무리 포석
TK 기반 김부겸 앞세워 '국민통합' 의도도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현 정부의 마지막 총리로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택한 것은 4·7 재보선 참패로 어수선한 여권 분위기를 일신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의 지지도가 뚝 떨어진 상황에서 당한 뼈아픈 패배는 당·정·청 균열, 나아가 레임덕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국정 성과를 내기에 앞서 당장 집안 단속을 해야 하는 형국이다.

4선 국회의원 출신인 민주당 중진 김 후보자를 앞세워 당과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것이다.

김 후보자의 '당·정·청 가교역할'을 통해 임기 말 당·정·청 갈등을 최소화하며 안정적 국정운영을 노렸다고 할 수 있다.

역대 정권에서 정치인을 마지막 총리를 발탁한 사례는 드물다.

1987년 민주화 이후 노태우 정부(현승종)를 시작으로 김영삼 정부(고건), 김대중 정부(김석수), 노무현 정부(한덕수), 이명박 정부(김황식), 박근혜 정부(황교안)에 이르기까지 마지막 총리는 여의도 물을 먹지 않은 비정치인이었다.

같은 맥락에서 문 대통령이 '김부겸 추천'에 부담스러워했다는 말도 있다.

자기 색깔이 강한 정치인은 임기 말 안정적 국정운영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문 대통령은 경제 전문가 또는 여성을 총리로 검토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재보선 이후 기류 변화가 생겼다는 후문이다.

재보선 참패의 후폭풍을 잠재우기 위한 극약처방으로 정치인 총리로 마음을 굳힌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이어지고 있다.

김 후보자가 '친문'으로 분류되지 않는 점도 눈길을 끈다.

'친문' 일색인 당심과 민심의 거리감을 좁혀야 한다는 목소리에 문 대통령이 일정한 답을 내놓은 셈이다.

문 대통령이 '통합'을 국정 중심에 두겠다는 구상 역시 읽힌다.

두 사람은 '노무현'이라는 같은 뿌리를 두고 있지만, 2015년 2월 당대표 경선에서, 2017년 대선에서 김 후보자는 문 대통령에게 위협적인 다크호스였다.

가깝고도 먼 관계였지만 대선을 거치며 동지로 거듭났다.

문 대통령은 대권을 거머쥔 뒤 첫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김 후보자를 발탁하면서 '핵심 국정목표인 국민통합 등을 실현하는 데 적임'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의 불모지인 대구에 출마한 그의 도전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자가 대구·경북(TK)을 정치적 기반으로 하는 만큼 냉랭한 TK 민심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도 주목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