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광주형 일자리' 태동·민선 7기 광주글로벌모터스 결실
전국 첫 상생형 지역 일자리…우여곡절 딛고 8일 시험 생산 돌입
[광주형 일자리 시동] ① 갈등 넘어 상생으로…공장 건립 7년 여정
[※ 편집자 주 = 광주글로벌모터스(GGM) 공장이 완공과 시험 생산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1998년 르노삼성 자동차 부산 공장 이후 23년 만에 국내에 들어선 자동차 공장입니다.

광주글로벌모터스는 전국 최초 상생형 지역 일자리 기업이라는 상징성과 고비용 저효율, 불안한 노사관계 등 체질을 개선할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합뉴스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결실을 보기까지 과정, 현황, 과제 등을 담은 3편의 기사를 송고합니다.

]

광주글로벌모터스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사회 통합형 노사 상생 모델이다.

노사민정(勞使民政)에서 합의한 적정 임금과 적정 노동 시간을 실현하고 동종 업계에 못 미치는 임금은 지방자치단체 등이 지원하는 생활·복지 혜택으로 채우는 형태다.

'광주형 일자리'로 명명된 이 사업은 전국적으로 확산한 상생형 지역 일자리 첫 사례다.

걸음마다 새 역사를 써 내려갔지만,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이었기에 여정은 순탄치만 않았다.

광주형 일자리는 2014년 7월 민선 6기 광주시 핵심 사업으로 태동했다.

광주시는 그해 9월 전담 부서인 사회통합추진단을 신설하고 2016년 7월에는 사회적 대화 기구인 '더 나은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인 2017년 3월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시키겠다는 공약을 제시한다.

[광주형 일자리 시동] ① 갈등 넘어 상생으로…공장 건립 7년 여정
더 나은 일자리위원회는 그로부터 3개월 뒤 적정 임금, 적정 노동시간, 노사 책임 경영, 원하청 관계 개선 등 4대 정책 과제를 핵심으로 광주형 일자리의 기본 개념을 정립했다.

공약은 대선 이후 국정 과제로 지위가 승격했으며 광주시는 2018년 2월 투자유치에 나섰다.

현대자동차가 투자의향서를 제출하고 한국노총 광주지부도 사업에 참여하면서 노사민정 주체별로 틀도 갖췄다.

그러나 협상은 험난했다.

2018년 9월 한국노총의 불참 선언을 시작으로 노동계의 복귀, 협상 결렬이 거듭되는 팽팽한 흐름이 이어졌다.

노사민정협의회가 이듬해 1월 30일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지속 창출을 위한 노사 상생 발전 협정서를 탄생시키며 갈등은 종식되는 듯했다.

이 협정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헌법'과 같은 위상을 지녔다.

전체 근로자 평균 초임 연봉 3천500만원(주 44시간 근무 기준), 주거·교통·교육·의료·문화 등 공동 복지 지원 내용을 결정하는 토대가 됐다.

이튿날에는 광주시와 현대차가 투자 협약을 체결하면서 사업은 순풍을 탔다.

자동차 공장 합작법인 투자 협약, 노사민정협의회의 적극적인 지원 결의, 주주 간담회 등을 거쳐 2019년 9월에는 광주글로벌모터스 법인이 탄생하고 3개월 후에는 공장이 착공했다.

그러나 지난해 4월 한국노총이 추진 과정에서 노동계를 배제했다는 이유로 다시 불참을 선언하면서 좌초 위기를 맞았다.

반복적인 협상 끝에 광주 상생 일자리 재단 설립, 광주글로벌모터스 내 상생위원회 설치 등 소통 창구를 마련하기로 하면서 노사정의 동행은 정상 궤도에 올랐다.

정부는 지난해 6월 광주형 일자리를 전국 제1호 상생형 지역 일자리로 선정해 그 가치를 인정했다.

광주글로벌모터스는 직원 채용, 생산설비 설치, 공장 건립 등을 순차적으로 추진해 오는 8일 시험 생산에 돌입한다.

단계별 신입사원 공채 경쟁률은 최고 76대 1을 기록할 만큼 높은 관심을 끌었다.

광주글로벌모터스는 본사 1천여명 고용 창출 목표를 향해 달리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 시동] ① 갈등 넘어 상생으로…공장 건립 7년 여정
이용섭 광주시장은 "광주형 일자리는 세계 유례가 없는 사회 대통합의 노사 상생 일자리, 정부 지정 제1호 상생형 지역 일자리"라며 "청년 일자리, 지역경제, 고비용 저효율의 고질적 문제를 해결하는 한국경제의 희망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