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동욱 국회반장의 현장 돋보기
단일화룰 협상, 빠른 속도로 진행
TV토론·중도층 공략이 승부 좌우
김종인 위원장도 캐스팅보트 역할
단일화룰 협상, 빠른 속도로 진행
TV토론·중도층 공략이 승부 좌우
김종인 위원장도 캐스팅보트 역할

사진=연합뉴스
![오세훈·안철수 단일화, TV토론·김종인에 달렸다[반장칼럼]](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609161.1.jpg)
두 후보 진영은 단일화 협상을 낙관하는 분위기다. 오 전 시장은 이날 한 TV프로그램과 인터뷰에서 “자잘한 여론조사 방법·문항을 갖고 실랑이를 할 게 아니라”며 “양보할 것은 양보하고, 받을 것은 받으면서 시원하게 단일화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했다. 안 대표도 “실무선에서 협의를 통해서 최선의 방법을 찾으면 유불리를 가리지 않고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TV 생중계 토론은 사실상 승부를 결정짓는 최대 변수다. 김성태 전 의원은 “코로나19로 대중들에게 직접 호소하기 어려운 제약으로 인해 두 후보 모두 토론회에 모든 전력을 쏟아부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토론회 형식은 국민의힘 측이 이번 경선에서 새로 선보인 1대1 스탠딩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사전 각본이 없어 후보의 민낯을 생생하게 엿볼 수 있어서다. 이미 세차례 무대에 선 오 전 시장은 “대화를 많이 나눌수록 유권자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자신하고 있다. 그러면서 “그분(안철수)이 토론에 약하다는 평이 있긴 하지만 전 그리 보지 않는다”며 ‘상대방이 토론에 약하다’는 프레임도 선점했다. 이에 대해 안철수 후보는 “말 잘하는 해설자보다 일 잘하는 해결사가 되겠다”는 기치로 맞서고 있다. 안 후보의 토론 실력도 업그레이드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금태섭 전 의원과 서울시 퀴어 행사 개최 여부를 놓고 벌인 토론회 설전에서 호평을 받은 전례도 있다. 양 진영 모두 중도층 표심이 승부를 좌우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민의힘 경선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층 표심을 파고들었던 나경원, 이언주 전 의원이 예상 외의 큰 표차로 패배했기 때문이다.
야권에선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야권 단일화의 변수가 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김 위원장의 향후 정치 행보는 이번 서울시장 선거 결과에 달렸다는 게 중론. 공교롭게도 김 위원장은 과거 오 전 시장과 안 대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수차례 내비친 바 있다. 오 전 시장의 출마선언 및 국민의당과 통합 논의에 대해 “이상한 조건부 출마”, “당 지도부가 아니면서 나선다”며 질책한 바 있다. 안 대표에 대해선 “정치적 리더십이 없다”고 공개석상에서 수차례 혹평했다. 이와 관련 오 전 시장은 김 위원장에 대해 전향적으로 돌아섰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오 전 시장은 당의 경선 후보로 확정된 직후 후보 단일화 협상을 당에 일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야권 후보 단일화 마무리되는 시점은 늦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당초 단일화가 이달 말까지 늦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던 김근식 국민의힘 비전전략실장은 “양측 후보의 현재 입장을 볼 때 단일화 협상과정이 사달이 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후보등록일(18~19일) 이전 후보 단일화를 끝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