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비례 연합' 참여 수순에…"이럴거면 선거법 왜 바꿨나" 비판 쇄도
준연동형 비례제 무력화 논란
"12~13일 全당원 모바일 투표"
민주당 당원들도 '갑론을박'
野 3당, 일제히 '맹비난'

여당 지도부, 당원에 결정 미뤄
조정식 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은 9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치개혁연합 참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전 당원 투표 일정에 대해 “12~13일 이틀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의장은 “(정치개혁연합) 참여 여부를 먼저 결정한 후 참여했을 때 어떤 방식일지를 또 논의해봐야 한다”며 “일단 참여 여부를 투표로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전날 최고위에서 정치개혁연합에 참여할지를 전 당원 대상 모바일 투표로 결정하기로 한 데 이어 이날도 최고위를 열어 투표와 관련한 세부사항을 논의했다. 강훈식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최고위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10일 의원총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 뒤 다시 최고위에서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시간을 갖기로 했다”고 말했다. 강 수석대변인은 ‘전 당원 투표 여부를 원점 재검토하느냐’는 질문에 “그 의견까지 들어서 최고위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주권자전국회의 등 진보진영 시민단체는 지난달 28일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 창당에 맞서 민주당 정의당 녹색당 미래당 민중당 민생당 등 범진보 정당에 정치개혁연합 창당을 제안했다. 주권자국민회의 등은 지난 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정치개혁연합의 창당준비위원회 결성을 신고했다. 21대 총선을 위한 정당 등록과 비례대표 후보자 선출 절차 등 마감 시한은 오는 16일이다.
野 “선거법 개정 후회한다고 고백하라”
야당은 민주당의 정치개혁연합 참여 움직임에 “이럴 거면 선거법을 왜 개정했느냐”고 비판을 쏟아붓고 있다. 황교안 통합당 대표는 이날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차라리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후회한다고, 지금이라도 정상 선거제로 돌아가자고 고백하라”며 “민주당이 의석수에 눈이 멀어 야합세력 간 밀약마저도 잊어버린 것 같다”고 꼬집었다. 황 대표는 “오직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자신들이 만든 선거법도 내팽개칠 수 있는 정권은 당연히 국민의 선택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지적했다.
민주당과 함께 선거법 개정에 나섰던 ‘4+1’(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 협의체 출신 야당들도 비판에 나서고 있다.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는 이날 당 상무위원회에서 “정의당은 어떤 경우라도 소위 비례연합 정당에 참여하지 않겠다”며 “민주당은 최고위에서 비례연합 정당과 관련한 결정을 당원에게 미루겠다고 했는데, 이것이 정의당과 민주당의 확연한 차이”라고 했다.
바른미래당 출신인 김정화 민생당 공동대표는 이날 당 최고위에서 “스스로의 원칙을 저버리고 정치개혁의 대의를 배신하는 비례 연합정당은 민주당의 무덤이 될 것”이라며 “위헌이자 위법인 반(反)민주 위성정당을 반드시 박멸하겠다”고 밝혔다.
당원들도 의견 분분
민주당 당원 사이에서도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민주당 권리당원 인터넷 게시판에 한 당원은 ‘비례정당 반대-국민들을 믿읍시다’라는 글에서 “당의 저력과 신념이 비례정당 때문에 무너지는 것은 두고 볼 수 없다”고 반대의사를 밝혔다. 반면 또 다른 당원은 ‘비례정당은 숫자게임이다’ 제하 글에서 “시간이 촉박하다. 숫자만 보고 빠르게 판단해서 비례정당으로의 집합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독자 정당 창당을 주장하는 의견도 있었다. 한 당원은 ‘연합정당 반대’ 글에서 “왜 연합정당으로 정의당 녹색당 민중당까지 도와줘야 하느냐”며 “우리끼리 하는 비례민주당이 정답”이라고 주장했다.
전 당원 투표 결과 전망도 엇갈리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측근으로 꼽히는 최재성 민주당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나와 ‘민주당이 연합정당에 합류하기로 대체적으로 분위기가 모아진 것이냐’는 질문에 “기류는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같은 당 설훈 의원은 “(연합정당 참여로) 중도층 표심이 달아나는 문제가 중요한 판단 포인트”라며 “당원 투표에서 부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도원/김소현 기자 van7691@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