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연구원 김진근 위원, 정책소식지에 소개…"체계적인 맞춤형 정책 필요"
"경남 항공부품업체 35% 경영·기술경쟁력 수준 미흡"
경남지역 항공부품제작업체 상당수가 경영(재무) 수준과 기술경쟁력 수준이 모두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연구원은 원내 김진근 선임연구위원이 연구원 정책소식지(G-BRIEF)에 실은 '항공산업 메카로의 도전:현실과 과제'란 제목의 글에서 이런 내용을 소개했다고 14일 밝혔다.

김 위원은 "글로벌 항공여객 수요는 2037년에 이르기까지 연평균 4.4∼4.6%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향후 20년간 세계 민간항공기 제작 수요가 3만7천∼4만4천대가 되고 시장가치는 5조8천억∼6조8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내 항공기 생산실적은 연간 5조원 수준으로 2016년까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다가 2017년 급격하게 떨어진 이후 다시 상승추세를 보인다"며 "지역별로는 경남이 4조원(78%)으로 가장 높고 2위인 부산의 6천700억원(14%)을 압도하는 국내 항공산업 중심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김 위원은 "경남 항공산업의 경쟁력이 미흡하다"고 진단했다.

경남연구원이 지난 6∼7월 경남 항공산업 실태 파악과 경쟁력을 진단하기 위해 실시한 조사에서 항공부품제작업체 62곳 중 경영·기술경쟁력 수준이 양호한 기업은 19곳(30.7%), 경영은 미흡하지만, 기술경쟁력이 양호한 기업은 11곳(17.7%)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영은 양호하지만, 기술경쟁력이 미흡한 기업이 10곳(16.1%), 경영과 기술경쟁력 모두 미흡한 기업은 22곳(35.5%)으로 조사됐다.

김 위원은 "민항기 제조시장의 양호한 미래 전망과 비교해 이 시장에 참여하기 위한 중앙정부의 노력은 미흡하다"며 "가장 큰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되는 150인승급 민간항공기 제조시장에 직접 도전하기 위해 정부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선도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항공산업 메카로 도약하고자 하는 비전을 가진 경남도도 더욱 도전적인 중앙정부의 항공산업 육성정책을 견인해내야 한다"며 "지역 항공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특단의 체계적인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김 위원은 기술개발·인증획득 관련 비용 지원을 첫 번째 과제로 제시했다.

정부의 기술개발자금 지원 프로그램과 항공우주연구원(KARI)·재료연구소(KIMS)·세라믹기술원 등을 적극 활용하고 도 차원 육성자금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항공산업종합업체 및 중앙·지방정부가 공동으로 펀드를 조성해 장비 개발을 지원하고 지역 항공정비(MRO)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저가항공사(LCC)로부터 안정적인 물량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는 방안도 내놨다.

이밖에 개인용 자율항공기(PAV) 등 미래비행체 개발 지원, 현재 진행 중인 항공 정보통신기술(ICT) 융합클러스터 사업의 성공적인 조성, 경남테크노파크 항공산업지원단의 수출지원 기능 강화 등도 맞춤형 지원책으로 꼽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