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은 '010-50XX'으로 시작되는 이동전화 전용 국번을 오는 2021년 폐지할 방침이다.
현역 군인을 위한 이동통신 전용 국번은 가입비가 전액 면제되고, 기본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같은 망(網) 내에서는 무료로 통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예비역들이 현역 시절 사용하던 전용 국번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보안사고 우려 등이 제기됐다.
합참은 8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 자료를 통해 "작년 국정감사에서 '예비역의 군 전용 국번 사용에 따른 보안사고 우려가 있으므로 예방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한 데 대한 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국감 지적에 따라 예비역들이 사용하는 '010-50XX'로 시작되는 군 전용 국번을 강제 회수하는 방안에 대한 법적 검토를 했다.
그러나 군 법무 당국에서 민간인 신분인 예비역들이 사용하는 군 전용 국번을 강제회수할 수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
이에 군은 지난 4월 이동통신 3사와 협조해 군 전용 국번으로 '예비역들은 일반 국번으로 변경해 달라'는 내용의 권고 문자를 일괄 발송했다.
아울러 군은 군 전용 국번 사용 정책을 아예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한 결과, 2021년께 군 전용 국번을 폐지할 계획을 세웠다고 합참은 설명했다.
이 정책이 폐지되면 기존 군 전용 국번에 부여된 요금 등의 혜택도 없어진다.
군의 한 관계자는 "군인 전용 통신인 '군 이동통신'은 전용 국번끼리는 통화를 무료로 하고, 기본 요금제도 8천원부터 시작하는 등 저렴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런 장점 때문에 전역 후에도 계속해서 군 전용 국번을 사용하는 예비역들이 늘어나 급기야 국감에서까지 지적된 것"이라고 말했다.
하와이 근해서 8월 4일까지…미해군 "인도태평양 자유·개방 증진"역대 최대규모 참가한 한국 해군준장, 원정강습단장 맡아 참가전력 지휘 미국이 주관한 세계 최대규모 해상 연합훈련인 환태평양훈련(이하 림팩훈련)이 29일(미국 태평양 표준시) 공식 개막했다. 한국 해군은 이번에 역대 최대 규모로 참가했다. 미 해군에 따르면 하와이와 서던캘리포니아 근해에서 열리는 올해 제28회 림팩은 26개국의 함정 38척, 잠수함 4척, 9개국 지상군, 항공기 170여 대, 병력 약 2만5천명이 참가해 8월 4일까지 이어진다. 참가국들은 훈련 기간에 대함전, 대공전, 대잠전, 자유공방전 등 다양한 훈련을 벌인다. 미 해군은 "림팩 기간 참가국들은 집합적 전력을 강화하며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을 발전시키기 위해 함께 훈련과 작전을 펼친다"며 "림팩 2022는 전(全) 전구와 분쟁에서 연합군이 강대국의 적대행위를 억지하고 물리치는 데 필요한 상호작전성, 저항성, 민첩성을 키우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인도태평양사령부는 각국 전력이 하와이 히캄기지에 속속 도착하는 소식을 알리면서 28일에는 한국 해군의 마라도함, 세종대왕함, 문무대왕함, 잠수함 신돌석함의 모습을 공개했다. 림팩에 도착한 마라도함 선체 외부에는 '우리는 새 역사를 쓰고자 여기에 왔다(We are Here to make New History)'라는 글귀 양 옆으로 태극기와 림팩 2022의 로고가 들어간 대형 플래카드가 걸렸다. 올해 17회째 림팩 훈련에 참여하는 우리 해군은 1990년 첫 참가 이래 가장 많은 전력을 보냈다. 참가 전력은 대형수송함 마라도함(LPH·1만4천500t급), 세종대왕함(DDG·7천600t급), 문무대왕함(DDH-Ⅱ·4천400t급), 손원일급 잠수함인 신돌
북한이 최근 며칠 새 내린 폭우로 임진강 상류 황강댐 수문을 열고 방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군 관계자는 30일 "최근 북한이 호우로 인해 황강댐 수문을 개방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군은 관련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실시간으로 유관기관과 상황을 공유하고 우리 국민의 안전과 재산 피해 방지를 위해 빈틈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군 당국은 북한의 황강댐 방류가 수일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북한이 황강댐을 방류하면 우리 측 군남 홍수조절댐까지 도착하는 데 약 4~5시간 걸린다.황강댐의 저수량은 군남댐의 약 5배에 달한다. 북한이 황강댐 수문을 열면 임진강 최북단의 필승교와 군남댐 수위가 빠르게 높아져 홍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다만 필승교 수위는 29일 관심 수위인 5m까지 올랐다가 이날 오전 점차 떨어져 현재 3m 수준을 보이고 있다.군 당국은 현재 수위가 하강하는 단계로 판단하고 있으나, 다음 주까지 북한 지역에 비가 이어지는 것으로 예보된 만큼 상황을 주시하면서 우발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