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이후 처음으로 한·미 주요 군 지휘관을 청와대로 초청한 문재인 대통령은 굳건한 한·미 동맹이 북한의 추가 도발을 막아냈다고 평가했다.
< 한·미 軍 수뇌부와 취임 후 첫 오찬 >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본관 인왕실에서 열린 한·미 군 주요 지휘관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시계 방향으로) 문 대통령,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 최병혁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박한기 합참의장, 정경두 국방부 장관.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 한·미 軍 수뇌부와 취임 후 첫 오찬 >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본관 인왕실에서 열린 한·미 군 주요 지휘관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시계 방향으로) 문 대통령,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 최병혁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박한기 합참의장, 정경두 국방부 장관.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문 대통령 “한·미 동맹은 영원한 동맹”

문 대통령은 21일 한·미 핵심 군 지휘부를 청와대로 초청해 연 오찬 간담회에서 “한·미 동맹은 한반도뿐 아니라 동북아 전체 평화·안정을 위해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 동맹의 힘으로 한반도 평화가 구축되더라도 동북아 전체의 평화·안정을 위한 한·미 동맹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한·미 군 핵심 지휘부를 청와대로 초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청와대는 “한·미 군 지휘관들을 격려하는 자리”라고 했지만 다음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굳건한 한·미 동맹을 부각하려는 차원에서 마련된 자리라는 분석이 나온다.

4차 남북한 정상회담-미·북 정상회담 순으로 이어지는 남·북·미 대화 재가동을 위한 발판을 다지는 성격도 깔려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한·미 동맹은 결코 한시적 동맹이 아닌, 계속해서 위대한 동맹으로 발전해 가야 할 영원한 동맹이라고 생각한다”며 “한·미 양국의 위대한 동맹을 위해 끝까지 함께 가자”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공고한 한·미 동맹과 철통 같은 연합방위태세를 토대로 그 힘 위에서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이라는 평화 프로세스의 길을 담대하게 걸어갈 수 있었다”고 했다. GP(감시초소) 시범 철수, DMZ(비무장지대)에서의 유해 공동 발굴, JSA(공동경비구역) 비무장화 같은 남북 간 군사 합의를 이행한 것 역시 한·미 동맹이 밑바탕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날 오찬에는 우리 측에서 정경두 국방부 장관, 박한기 합참의장, 최병혁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서욱 육군참모총장, 심승섭 해군참모총장, 원인철 공군참모총장, 이승도 해병대 사령관 등 군 수뇌부가 총출동했다. 주한미군에서는 로버트 에이브럼스 사령관, 케네스 윌즈바흐 부사령관, 제임스 루크먼 기획참모부장, 토니 번파인 특수전사령관, 패트릭 도나호 미8군 작전부사령관 등이 함께했다.

‘단도 미사일?’ 논란

문 대통령이 이날 오찬에서 ‘단도 미사일’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간담회 인사말에서 최근 북한의 발사체 발사를 언급하며 “한·미 동맹의 공고함과 한·미 양국의 긴밀한 공조는 최근 북한의 단도 미사일을 포함한 발사체의 발사에 대한 대응에서도 아주 빛이 났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존재하지 않는 ‘단도 미사일’이란 표현을 사용해 일각에선 ‘탄도미사일’을 가리킨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국방부가 북한이 문 대통령 취임 2주년을 앞두고 발사한 발사체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짓지 않은 상황에서 자칫 문 대통령이 발사체를 탄도미사일로 규정했을 경우 큰 파장이 예상됐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 취임 2주년 특별 대담에서 “비록 단거리라도 탄도미사일이라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소지도 없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국방부는 17일 ‘주한미군이 북한 발사체를 탄도미사일이라고 결론 내렸다’는 보도에도 “주한미군사령부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논란이 일자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의) ‘단도 미사일’ 발언은 확인해 보니 ‘단거리 미사일’을 잘못 말한 것”이라고 밝히며 진화에 나섰다. 고 대변인은 “당초 원고에도 단거리 미사일로 표기됐으며 영어통역도 ‘short range missile’(단거리 미사일)로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