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북미관계 수립·한반도 항구적 평화정착 진전에 기대감
北 비핵화·유해발굴 조치에 화답하는 美 조치 있을지 주목
"센토사 합의 1, 2항 진전 주목"…북미고위급회담 기대 갖는 靑
청와대가 오는 8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리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간 북미고위급회담의 결과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무엇보다 폼페이오 장관과 김 부위원장 간 고위급회담이 비핵화의 향방을 가늠할 중대한 계기인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성사를 담판 짓는 자리라는 점에서 청와대 역시 그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가 이 못지않게 주목하는 부분은 미 국무부가 이번 고위급회담에서 제1차 북미정상회담 당시 합의한 4개항의 논의를 시사했다는 점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6일 브리핑에서 "이번 고위급회담의 가장 중요한 내용 중 하나가 2차 북미정상회담 시기·장소를 좁혀 나가는 것이지만 비핵화와 관련한 합의 역시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미 국무부가 고위급회담 개최 예정 사실을 발표하면서 제1차 북미정상회담 당시 북미가 합의한 4가지 합의사항(pillars)의 논의 가능성을 언급한 데 각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김 대변인은 "4가지 합의가 새로운 1. 미북관계 수립, 2.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 3. 한반도 비핵화, 4. 유해발굴 순서로 돼 있는데 지금까지는 어찌 보면 그 이행이 뒤에서부터 이뤄졌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해발굴과 비핵화가 중점적으로 논의됐다면 이번 고위급회담에서는 1항과 2항도 본격적으로 협상이 되는 게 아닌가 생각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로서는 이번 고위급회담에서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까지 논의한다면 한반도 비핵화가 추동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키우는 모습이다.

북한은 싱가포르 합의 중 3, 4항을 성실하게 이행하는데도 미국이 이를 선의로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1, 2항과 관련한 조처를 하지 않는 것에 그간 우회적으로 불만을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9월 대북 특사 자격으로 방북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만난 자리에서 북한은 비핵화에 필요한 조치를 실천해 왔는데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가가 인색한 데 어려움을 토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북미관계 수립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 문제를 고위급회담 테이블에 올려놓을 가능성을 비쳤다는 점은 분명 청와대가 고무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8월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이 무산된 이래 제3차 남북정상회담과 한미정상회담 등으로 멀어졌던 북미 사이를 좁히는 데 공을 들여왔다.

이후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이 성사되는 등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물꼬가 트인 상황에서 싱가포르 합의의 1∼4항을 모두 논의하게 된 만큼 문 대통령의 중재자 내지 촉진자 역할이 구체적 성과를 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만약 북미고위급회담에서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등에 일정한 진전을 이룬다면 북미정상회담의 내년 개최 가능성과 맞물려 그 의미가 축소될 가능성이 거론됐던 김정은 위원장의 연내 답방에 다시금 무게감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