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차 미·북 정상회담을 개최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개최 시기와 관련, “머지않은 미래”라고 표현했다. 한·미 정상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오후 2시50분부터 1시간25분간 정상회담을 하고 북한 비핵화, 미·북 정상회담 개최 등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간 좋은 합의를 이뤘고, 북한 비핵화에 대해서도 진전된 합의가 있었다”며 “이제 북한의 핵 포기는 북한 내부에서도 되돌릴 수 없을 만큼 공식화됐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미·북 정상회담 개최가 “곧(pretty soon) 발표될 것”이라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을 공식화했다. 미·북 관계에 대해서도 “매우 좋다. 아주 놀라운 수준”이라고 말했다. 다만 “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해서 서두르지는 않는다”고 여지를 남겼다.

한·미 정상은 2차 미·북 정상회담 추진을 공식화했지만 종전선언, 실질적 비핵화 조치 등에 대해선 여전히 ‘온도차’를 보였다. 청와대는 두 정상이 종전선언 문제를 논의했다는 데 방점을 뒀지만 백악관은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북한의 비핵화(FFVD)’를 재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이용호 북한 외무상은 이번주 뉴욕에서 미·북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실무 논의를 할 예정이다. 이용호는 유엔 총회 참석차 25일 오후 뉴욕에 도착했다. 미북은 북한 특정 핵시설과 무기에 대한 논의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23일 폭스뉴스에 나와 북한의 특정 핵시설과 무기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2차 미·북 회담은 당초 오는 10월께 열릴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했으나 미국의 중간선거일인 11월6일 이후에 열릴 것이란 관측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를 코앞에 두고 미·북 회담을 추진하는 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데다 북핵 리스트 제출, 사찰·검증 수용 등 추가 조치가 없을 경우 미국 내 반발 여론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장소는 미·북이 비핵화 실무 협상을 벌일 장소인 오스트리아 빈 같은 유럽의 제3국이나 판문점 등이 거론된다. 김정은의 연내 서울 답방 가능성이 있는 만큼 11월 말이나 12월에 판문점 또는 서울에서 남·북·미 3자 회담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김채연 기자/워싱턴=주용석 특파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