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7일까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중국 방문 여부를 공식 확인해주지 않았다. 다만 “김 위원장 방중 사실을 확인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그때까지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 관례상 중국과 북한의 공식 발표가 있기 전까지 청와대가 김정은의 방중 사실을 공개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중 관계 개선이 이뤄지는 것은 긍정적 신호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며칠 전 북측 움직임을 파악하고 있었고 예의주시했다”며 “다만 실제 베이징에 어떤 사람이 갔는지는 지금으로선 확인이 안 된다”고 설명했다. 어떤 움직임을 파악했느냐는 질문엔 “구체적 언급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했다.

청와대는 전날까지 김정은 방중 관련 외신 보도에 대해 “확인되지 않는다”며 북·중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에 회의적인 반응을 내놨다.

하지만 하루 뒤인 이날 “한반도를 둘러싼 여러 상황이 매우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어떤) 선입견을 갖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말을 바꿨다. 중국을 방문한 북한 최고위급의 정체는 여전히 확인 중이라면서도 김정은의 방중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청와대는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동향 파악에 나섰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다양한 분석과 추측을 담은 보도가 나온 것을 접했다”며 “정부는 보도의 진위를 포함해 관련 상황과 동향을 면밀히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중국 측의 설명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전례를 보면 중국 정부는 이런 인적 교류를 적절한 시점에 대외적으로 발표하고 또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관련국과 해당 내용을 공유했다”고 답했다.

미국은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라지 샤 백악관 부대변인은 2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김정은의 중국 방문과 관련, “아무 정보가 없다”고 말했다. 줄리아 메이슨 국무부 대변인도 기자들의 확인 요청에 “중국인에게 확인하라”고 짧게 답했다.

조미현/김채연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