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대비 20% 이상 증가 전망…주파수 경매 비용도 부담
정부, 낙찰가 산정방식 개정…설비 공유 시 비용 절감
5G '쩐의 전쟁' 막 오른다…설비 투자만 10조 이상
2018년에는 차세대 통신 5G를 위한 설비 투자 경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국내 이동통신 3사는 2019년 상용화를 목표로 올해부터 본격적인 투자에 나설 예정이다.

6월로 예정된 주파수 경매 비용까지 더하면 초기 투자비는 10조원을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관측된다.

◇ 단순 계산 시 20조원…LTE 활용·필수설비 공유 변수

1일 이동통신업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정부와 이통 3사는 2019년 5G를 상용화한 후 2022년까지 전국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설비 투자는 올해 주파수 경매 이후 본격화해 향후 3∼4년 동안 집중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LTE 투자도 이와 비슷한 기간이 걸렸다.

이통 3사들의 연간 설비투자(CAPEX) 비용을 보면 LTE 상용화 직전 해인 2010년 6조원을 넘어섰고, 상용화 원년인 2011년에는 7조원, 2012년에는 8조원대로 정점을 찍었다가 2013년부터 점차 감소해 2015년부터는 5조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5G는 현재 LTE보다 한 단계 진화한 통신 기술인 만큼 초기 투자에도 큰 비용이 소모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전파의 직진성이 강하고, 도달 거리가 짧아 기지국을 LTE보다 촘촘히 박아야 한다.

이로 인해 전체 투자비가 LTE 대비 20%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5G '쩐의 전쟁' 막 오른다…설비 투자만 10조 이상
SK텔레콤 박정호 사장은 지난 국감에서 "5G는 기지국을 (LTE 대비) 3배 이상 촘촘하게 설치해야 한다"며 "4G(LTE)에 8조원 정도 소요됐는데 5G는 10조원 정도가 들어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각 사의 설비투자 규모가 시장 점유율과 비슷하다고 가정한다면 단순 합산해봐도 3사 전체의 투자비가 20조원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하지만 기존 LTE 장비 및 소형 기지국(스몰셀) 활용과 전송 효율을 높이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투자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K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5G 상용화 초기에는 기가급 LTE가 함께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며 "저전력 소형 기지국도 기존 기지국 대비 저렴하게 설치할 수 있어 투자비용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필수설비 공유가 현실화되면 투자비 부담은 한층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필수설비란 전주(전봇대), 관로 등 전기통신사업에 필수적인 유선설비를 말한다.

국내 통신 필수설비의 대부분은 KT가 보유하고 있다.

정부는 5G 투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내년 상반기 필수설비 공동구축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유영민 과기부 장관은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5G에서 필수설비 정보는 통신 3사가 공유했으면 좋겠다"며 "3사와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정책 추진 의지를 재확인했다.

필수설비 공유가 가능해지면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초기 투자 부담을 덜 수 있을 전망이다.

하지만 KT가 업계 투자 위축을 이유로 난색을 보여 실제 공유까지 난항이 예상된다.
5G '쩐의 전쟁' 막 오른다…설비 투자만 10조 이상
◇ 주파수 경매 '승자의 저주' 막을까

6월로 예정된 5G 주파수 경매는 초기 투자비용을 가늠할 또 다른 척도다.

5G 주파수는 LTE보다 대역폭이 넓은 광대역이라 경매 낙찰가(할당대가)도 LTE를 훌쩍 뛰어넘을 전망이다.

과거 세 차례에 걸친 LTE 주파수 할당 대가는 총 6조2천410억원에 달했다.

할당 대가는 5∼10년에 걸쳐 분납하는데 연간 3사 납부하는 비용은 1조원가량이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LTE 경매대가 산정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올해 5G 주파수 낙찰가는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때문에 낙찰받은 통신사는 '승자의 저주'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과기정통부는 이런 우려를 반영해 5G 주파수 할당대가 산정방식을 개정할 방침이다.

이미 작년 초 제도개선 연구반을 운영해 할당 대가를 낮추는 방안을 연구해왔다.

정부가 할당 대가를 낮추겠다는 공언한 만큼 5G 주파수 비용은 크게 낮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분납방식으로 초기 부담을 덜 수 있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기술 표준이 확정되지 않아 정확한 투자 규모를 가늠하기 힘들다"며 "주파수 할당 대가와 필수설비 공유가 주요 변수인 만큼 동향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