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사드배치 성주골프장 찍혀…3년 전엔 청와대·군부대 노출
대당 2000여만원 상당 북한 무인기에 전략시설 속속 '노출'
북한 무인기로 추정되는 소형비행체가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가 배치된 경북 성주골프장 전경을 촬영한 것을 보면 북측이 마음만 먹으면 우리측 어느 지역에 있는 전략시설이라도 정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

군은 최종 분석 결과가 아직 안 나왔기 때문에 이번 소형비행체를 '북한 무인기'라고 단정적으로 표현하고 있지 않지만, 사실상 북한이 자행한 도발로 판단하고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13일 "무인기에 탑재된 카메라에 찍힌 사진으로 비행경로를 추산하면 북한지역에서 발진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와 경북 성주지역까지 정찰하고 사진을 촬영하면서 북한지역으로 복귀하려다가 연료 부족으로 추락한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고 전했다.

비록 북한 무인기가 미국의 고고도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와 같은 첨단 비행체가 아니고, 촬영한 사진의 해상도도 정밀하지 않지만, 우리 군과 주한미군의 전략시설 배치 장소와 그 좌표를 지속해서 업그레이드하는 차원에서 도발을 계속하는 것으로 군 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군 당국이 지난 8일 강원도 인제에서 주민에 의해 발견된 무인기의 내장 카메라(일본 소니사 DSLT·메모리 3.2GB)를 분석한 결과, 사드가 배치된 경북 성주골프장 전경이 찍혀 있었다.

사진을 확대하면 현재 배치된 발사대 2기와 레이더 등 사드체계 핵심장비가 있는 위치가 드러난다.

북한이 지난 4월 26일 사드체계가 배치된 이후 무인기를 날려 보내 성주골프장을 촬영했을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인제에서 발견된 무인기가 고도 2∼3㎞로 추정되는 상공에서 찍은 성주골프장 전경 사진을 보면 공교롭게도 북한이 지난달 8일 조선중앙TV의 시사대담 프로그램을 통해 보여준 사진과 너무 닮았다.

당시 북한 중앙TV는 출처가 '위성사진'이라고 밝히면서 "위성사진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 사드 발사기는 성주골프장의 북쪽 능선 부근에, 그리고 X대역탐지기(레이더)와 지원 장비들은 골프장의 중간 부근 서쪽 능선 부근에 배치돼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드 발사대로 주장하는 물체와 사격통제레이더(X-밴드 레이더)로 주장하는 물체를 각각 검은색 원으로 표시한 사진 2장을 화면에 띄웠다.

이들 사진과 합참이 공개한 사진이 닮은꼴이어서 다른 무인기가 촬영해 성공한 뒤 북한으로 복귀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에 주한미군 사드배치 지역 촬영 사실이 드러남으로써 미군의 다른 시설들도 이미 북한 무인기의 목표가 됐을 것으로 군 관계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북한의 무인기는 우리 정부의 전략시설이나 군부대 배치 상황 등에 대한 정보도 집중적으로 수집하고 있다.

북한이 우리 측 지역으로 날려 보내는 무인기는 제작비용이 대당 최소 2천만원에서 최대 4천만원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014년 3월 24일 경기도 파주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는 서울 상공을 비행하면서 7∼9초 간격으로 서울 중심지역을 촬영했는데 청와대 전경도 선명하게 찍혔다.

파주 추락 무인기는 시속 100∼120㎞로 비행했으며, 고도 2.5㎞ 상공에서 사진을 촬영했다.

193장 중 초반 15장은 검은색으로 물체의 형체를 알아볼 수 없었고, 178장은 판독이 가능했다.

일제 캐논 카메라의 24㎜ 렌즈를 사용했다.

같은 해 3월 31일 백령도에서 발견된 무인기도 시속 100∼120㎞로 비행했으며, 고도 1.8㎞ 상공에서 촬영했다.

119장의 사진 중 19장은 물체가 흐릿했고 나머지 100장에는 소청도와 대청도의 군부대 시설 모습이 담겨 있었다.

일제 니콘 D800 카메라와 니콘 35㎜ 렌즈를 이용해 사진이 촬영됐다.

이번에 인제에 추락한 무인기와 형태가 비슷한 백령도 추락 무인기는 체코제 4행정 휘발유 엔진을 사용하는 등 조종계통이 복잡하게 설계된 최신형이었다.

이들 추락 무인기는 미국, 중국, 일본, 스위스, 체코, 한국 등 6개국의 상용부품으로 제작됐다.

북한 무인기는 GPS(인공위성위치정보) 수신기를 장착해 임무명령 데이터에 의해 이륙한 후 입력된 좌표를 따라 비행하면서 사전에 명령받은 좌표 상공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복귀 좌표를 따라 이륙지점으로 되돌아오는 방식으로 제작됐다.

무인기의 항법장치에 내장된 중앙처리장치(CPU)에 연결된 카메라에 소형컴퓨터가 신호를 주면 촬영 시간 간격과 촬영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파주와 삼척, 백령도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 중량은 10∼14㎏이지만, 카메라와 낙하산을 제거하면 실제 무인기에다 3∼4㎏의 물체를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군이 무인기에 4㎏의 폭약을 달아 건물에 충돌하는 시뮬레이션 실험을 한 결과, 건물은 거의 피해가 없었고 폭발로 인한 인명 살상 범위는 1∼2m로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three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