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자 "보호주의 기승에 조직간 갈등 안돼…전부처가 열심히 뛰어야"

4년 만의 '외교통상부' 복원을 기대했던 외교부에서는 통상 기능을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에 그대로 두기로 한 당·정·청의 5일 결정에 대한 아쉬움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2013년 박근혜 정부 출범 때 떼어 놓은 통상 부문을 다시 외교부로 이관하는 방안을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공약했다는 점에서 외교부 관료들은 그동안 통상 분야의 복귀가 유력한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지난주부터 논의의 방향이 '산업부에 존치' 쪽으로 급격히 바뀌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고, 결국 현상 유지 쪽으로 최종결정이 나자 외교부 당국자들은 허탈해했다.

특히 외교부 안에서는 '산업부는 통상 기능 존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낸 반면 우리는 너무 낙관하고 방심했던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들린다.

외교부의 한 간부는 "새 정부에서 결론을 내린 것에 대해 가타부타 이야기하는 것은 맞지 않다.

결론이 도출된 만큼 수용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재외공관(대사관과 총영사관 등)의 주된 임무가 '통상'인 만큼 어떻게 (산업부와 재외공관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지 앞으로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외교부 관계자는 "외교부로 이관하든 산업부에 존치시키든 일장일단이 있었을 것"이라면서도 "산업부에서 통상 조직을 가지고 있는 동안 어떻게 했느냐에 대한 평가는 필요했을텐데…"라며 말을 흐렸다.

이 관계자는 "이왕 결정이 난 이상 우리는 주어진 일을 해야 할 것"이라며 "지난 정부 때도 통상조직은 외교부 안에 없었지만 외교부는 경제외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나름대로 애를 썼다"고 말했다.

경제외교 분야에 오래 몸담아 온 외교부 간부는 "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우리가 알고 있는 자유주의적 세계질서와 자유무역 질서가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라며 "밖에 폭풍우가 부는데 안에서 싸우는 것은 끝내야 하며, 전 부처가 열심히 뛰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간부는 "어떤 통상 조직이 되든 특정 부문의 이해관계를 넘어 포괄적으로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협상자들의 전문성을 계속 키울 수 있는 조직이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 kimhyoj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김효정 기자 jh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