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 도발, 한중 '사드갈등' 고조 시점 노렸나
中, 작년 사드배치 결정 이후에도 안보리 대응 '몽니'

북한의 6일 오전 탄도미사일 도발은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를 둘러싸고 한중 간 긴장이 최고조에 이른 시점에 이뤄졌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한미연합군사훈련에 대한 반발뿐만 아니라, 한·미와 중국이 사드 문제로 갈등을 빚어 국제사회의 대북 공조 체제가 상대적으로 이완된 상황도 노린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7월 한국과 미국이 사드 배치 결정을 공식 발표한 직후에도 북한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7월9일), 노동·스커드 미사일(7월19일), 노동미사일(8월3일) 등을 연달아 발사한 바 있다.

실제로 당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무대에서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규탄성명 채택 등으로 대응하려던 미국 등의 시도가 중국의 '몽니' 때문에 번번이 무산됐다.

북한은 지난해 8월 3일 황해남도 은율군 일대에서 노동미사일 2발을 쏴 이 중 1발이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낙하했다.

이후 안보리에서는 미국 주도로 언론성명 채택이 추진됐지만, 중국이 성명에 한반도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문안을 넣자고 요구해 이사국들 간 합의가 불발됐다.

당시 중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응을 구실로 동북아에 새로운 탄도요격미사일 거점을 배치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의 문안을 요구한 것으로 서방 언론에 보도됐다.

최근 중국은 롯데가 사드 부지 제공을 결정한 뒤 한국에 노골적 경제보복을 가하고 있어 이번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에서도 미온적 태도를 보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김정남 암살과 중국의 북한산 석탄 수입 중단 등으로 북·중 관계에도 악재가 불거진 상황이었지만, 양국은 지난달 28일∼이달 4일 리길성 외무성 부상의 방중을 계기로 전통 우호관계를 재확인했다.

다만 중국이 리 부상을 초청해 관계를 봉합한 직후에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이 중국의 '뒤통수'를 친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 만큼 중국이 향후 어떻게 반응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은 북한의 각종 핵·미사일 도발에 "한반도 긴장을 조성하는 행위를 삼가야 한다"는 원칙적 입장을 견지해오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kimhyoj@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