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용 폭음통 1천500여개 화약 보관" 진술 확보…원인 규명에 초점
미사용분 처분, 불순 의도 등 모든 가능성 배제 안 해

울산의 한 예비군훈련부대에서 다량의 훈련용 폭음통 화약이 폭발한 것과 관련, 군이 이 부대에서 탄약관리를 담당하는 부사관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군은 이 부사관이 폭음통 등 훈련용 화약을 폭발 지점에 따로 모아둔 사실을 확인하고, 의도와 경위를 캐고 있다.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인 군은 폭발이 일어난 부대에서 탄약관리 업무를 담당한 A부사관으로부터 "훈련용 폭음통 1천500∼1천600개 안에 있던 화약을 모아 폭발 지점에 보관했다"는 내용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A부사관이 올여름 소진했어야 할 훈련용 폭음통 1천500∼1천600개가량이 남자 폭음통을 해체, 그 안에 있던 화약을 따로 모아 사고가 발생한 구조물 안에 보관했다는 것이다.

이 화약이 원인을 알 수 없는 점화원과 접촉, 폭발이 발생한 것으로 군은 보고 있다.

다만, A부사관이 화약을 따로 모아둔 이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가장 쉽게 추정할 수 있는 이유는 훈련 때 미처 사용하지 못한 폭음통을 몰래 처리할 목적으로 화약을 분리해 보관한 것이다.

군은 그러나 불순한 의도가 있었을 가능성도 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단순히 폭음통을 처분하기 위한 목적이었는지, 다른 의도가 있었는지, 공모자가 있는지, 허위 진술은 아닌지 등 모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훈련용 폭음통은 길이 5㎝, 지름 1.5㎝ 크기에 7㎝짜리 도화선이 달린 교보재다.

불을 붙여 던지면 포탄이나 수류탄이 떨어지는 소음을 낼 수 있어 각종 군 훈련에서 사용된다.

폭음통 1개에 든 화약은 소량이어서 폭발력이 그리 크지 않지만, 다량의 폭음통을 분리해 화약만 모아두면 상당한 폭발력이 있는 것으로 군 관계자는 분석했다.

애초 사고 직후 군은 "폭발은 예비군훈련장인 시가지 전투장 모형 중 한 구조물이 터지면서 발생했다"면서 "구조물은 조립식 패널로 만들어졌는데 폭발 당시 비어 있으며, 폭발이나 화재를 일으킬 만한 인화성 물질은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장 감식에서 수류탄이나 지뢰 파편이 아닌 화학물질 성분이 검출됨에 따라 아직 파악되지 않은 폭발물이나 화인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지금까지 확인된 내용을 종합하면 탄약관리병이 알 수 없는 이유로 폭음통에 쓰이는 화약만 따로 모아서 시가지 전투장 구조물 안에 보관했는데, 이 화약이 불상의 점화원으로 터지면서 때마침 구조물 옆을 지나던 23명의 병사가 다친 것이다.

군 폭발물처리반이 조사에 나섰지만, 별도로 분류된 화약만 터졌기 때문에 폭음통 파편 등 잔해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군은 현장에서 채취한 잔류 화학물질 분석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하는 등 정확한 폭발 원인을 찾고 있다.

13일 오전 11시 47분께 울산시 북구 신현동 53사단 예하 예비군훈련부대에서 폭발이 발생해 현역 병사 23명이 다쳤다.

병사들은 낙엽 청소를 마치고 점심을 먹으려고 식당으로 향하던 길에 시가지 전투장 옆을 지나가다가 부상했다.

이 부대는 울산시 북구와 동구지역 예비군훈련부대지만, 사고 당시에는 훈련이 없어 예비군은 없었다.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hk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