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6개월만에 민주당 사용…野 통합과 분열의 역사 함께해와
독자노선 국민의당 압박…秋 "더 큰 통합위해 돌아오는 분 품을 것"

더불어민주당이 야권의 원외정당인 민주당과의 통합을 선언한 것은 내년 대선을 겨냥한 야권 새판짜기 움직임의 서막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물론 통합의 대상인 민주당이 갖는 정당조직으로서의 의미는 크지 않다.

현역의원이 단 한 명도 없을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6개 시도당에 당원이 9천명에 그치는 미니 정당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민주당의 진정한 가치는 '이름값'에 있다는 게 정치권의 지배적 분석이다.

민주당이라는 명칭은 1955년 9월 해공 신익희 선생이 창당하면서 붙인 이름으로, 정통 야당의 상징어로 자리매김해왔다.

따라서 더민주의 이번 민주당 흡수는 바로 제1야당으로서의 정통성 확보라는 측면에 가장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추미애 대표가 민주당 김민석 대표와 함께 민주당 창당 61주년을 맞은 18일 신익희 선생의 생가를 찾아 양당의 통합을 발표한 것은 상징성을 극대화하려는 조치다.

특히 더민주로서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야당의 전통적인 '텃밭'인 호남을 지역기반으로 해 독자적으로 중도층 공략에 나서고 있는 제2야당 국민의당과의 '호남 대전'에서 기선을 제압할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더민주는 8·27 전대를 통해 친(親) 문재인 체제로 전환하면서 호남 구애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더민주로서는 이번 민주당 흡수를 계기로 야권통합의 주도권을 둘러싼 국민의당과의 경쟁에서 다소 유리한 고지로 올라서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을 내보이고 있다.

추 대표는 해공 선생 생가에서 "민주개혁세력이 더 큰 통합을 위해 지지층을 더 강력히 통합하고, 돌아오는 한 분 한 분을 분열 없이 품고 가야 한다"고 말했다.

주목할 점은 민주당이라는 명칭이 과거 야권통합 움직임이 있을 때마다 어떤 형태로든 활용되다가 사라지곤 했다는 점이다.

2000년대 들어 김대중 정부 시절 집권당이던 새정치국민회의는 2000년 1월 새천년민주당으로 확대 개편하면서 약칭으로 민주당을 사용했다.

그러나 2003년 열린우리당 창당으로 민주개혁세력이 분화된 뒤 2005년 새천년민주당은 사실상 호남을 기반으로 한 지역정당에 머물면서 민주당으로 당명을 바꿨다.

이후 열린우리당 탈당파들이 만든 대통합민주신당이 17대 대선에서 패한 뒤 2008년 2월 야권통합을 명분으로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합당해 통합민주당이 출범했고, 약칭으로 민주당을 사용했다.

같은 해 8월에는 아예 당명이 민주당으로 바뀌었다.

그러다가 2011년 말 19대 총선을 앞두고 시민사회와의 통합을 명분삼아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의 합당으로 민주통합당이 출범해 약칭으로 민주당을 유지했다가, 2013년 5월 다시 민주당으로 당 현판을 바꿔달았다.

이어 민주당은 2014년 3월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가 이끌던 새정치연합과의 통합으로 새정치민주연합을 만들면서 다시 민주당 당명을 잃었다.

약칭으로나마 민주당을 되찾게 된 것은 2년 6개월만인 셈이다.

추 대표는 국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은 민주주의의 산실로서 소나무 같은 그런 느낌을 주는 당명으로, 이번 통합은 이를 회복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박수윤 기자 lkb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