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정현 신임 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첫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이정현 신임 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첫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與지도부와 내일 회동서 국정협력 당부…사드 배치 등 국정현안에 드라이브 걸듯
靑 "당 변화하면 국정운영 동력 생길 것…당 협조 여지 커졌다"
개각은 사면·광복절 이후로 예상…금주 말 전격단행 가능성도


새누리당 '이정현호(號)'의 출범으로 임기 1년 6개월여 남은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상당한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현 정부에서 청와대 수석을 두 번이나 역임해 박 대통령의 '복심'으로 꼽히는 이정현 대표 체제로 집권여당이 재편되면서 박 대통령으로서는 든든한 '우군'을 확보한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친박'(친박근혜)이 주도하는 원내 1당의 지원을 얻을 경우 그동안 여의도 정치의 벽을 넘지 못했던 주요 국정과제 추진에도 한결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이 안정되면 아무래도 우리의 국정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된다"며 "당이 변화와 화합을 이루면 국정 운영에 동력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우리가 힘있게 추진하고 싶은 국정 기조에서 당의 협조를 받을 여지가 더 생긴 것"이라면서 "이 대표 체제가 됨으로써 당발(發) 리스크나 정치 리스크가 줄어들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이 신임 대표가 취임 후 첫 일정으로 서울 국립현충원을 참배한 뒤 기자들과 만나 "앞으로 1년 6개월은 (차기) 대선 관리도 중요하지만, 대통령 중심으로 국가와 국민, 민생, 경제, 안보를 챙기는 게 시급하다"고 한 것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박 대통령은 관례대로 11일 이 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의 새 지도부를 청와대로 초청, 이 자리가 '신(新) 밀월'로 불리는 당·청 관계의 앞날을 가늠할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동에서 박 대통령은 전날 전당대회 축사를 통해 "새 지도부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투철한 국가관을 갖고 나라가 흔들리거나 분열되지 않도록 바로잡는 것"이라고 한 대목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다.

또 한, 축사에서 "새로운 변화와 화합을 이뤄 국민에게 신뢰와 믿음을 줄 수 있는 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 "분열과 갈등을 야기하는 정치도 끝내야 한다", "단합과 혁신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당원동지 여러분께서 하나가 돼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강조했다는 점에서 당 혁신과 화합을 재차 주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발언은 박 대통령이 야당과 갈등을 빚고 있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 노동개혁과 경제활성화 법안 등을 새 여당 지도부가 청와대, 정부와 협력해 신속하게 추진해줄 것을 촉구한 것이기도 하다.

특히 사드 갈등의 경우 이 대표를 중심으로 친박계가 다수를 이룬 새 지도부가 적극 지원해 주민들을 설득하고 야당의 공세를 차단하면 논란이 진정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12일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광복절 특별사면을 확정하고, 15일 광복절 메시지를 통해 안보의 중요성을 부각하면서 사드 논란의 종결을 재차 호소할 것으로 보인다.

집권여당이 이정현 체제로 안정화하고 사드 갈등이 고비를 넘기고 나면 미뤘던 개각을 단행해 행정부를 쇄신할 것으로 관측된다.

당초 정기국회 시작 전까지 인사청문 절차를 마치려면 박 대통령의 휴가 직후인 8월 첫째 주에 개각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으나, 사드 논란이 확산되면서 최근 박 대통령은 사드 대응에 더욱 주력해왔다.

일정상 개각은 광복절 이후인 다음 주가 유력한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르면 11일께 새누리당 새 지도부와 면담에서 협의하고 금주 말에 곧바로 발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개각 대상으로는 박근혜 정부의 양대 정책 기조인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각각 지휘하는 미래창조과학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포함해 현 정권 들어 한 번도 장관이 바뀌지 않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등 모두 4∼6개 부처가 거론된다.

여기에 야당을 비롯해 정치권과 수차례 갈등을 빚은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차관급)도 5년5개월째 자리를 지켜왔다는 점에서 교체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강건택 기자 firstcirc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