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국·김용태에 주호영까지 참여 가능성…김문수가 변수
이주영 "마이웨이" 선긋기…홍문종 뛰어들면 정리 시도될듯

새누리당의 8·9 전당대회 후보등록일이 사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당권주자들 간 단일화 논의가 급물살을 탈 조짐이다.

현재로선 6∼8명의 잠재적 후보 모두 완주 의지가 확고하지만, 누구도 뚜렷한 두각을 드러내지 못한 까닭에 당선 확률을 높이려는 시도가 물밑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단일화가 상대적으로 가시화한 쪽은 비박(비박근혜)계 진영이다.

특히 정병국·김용태 의원은 전대 출마 전부터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시로 의견을 교환했다.

이들은 '친박(친박근혜) 패권주의 척결'과 수도권 출신 개혁 성향에 옛 친이(친이명박)계라는 공통분모를 바탕으로 후보등록을 전후해 단일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전대 레이스에 뒤늦게 뛰어든 친이계 출신 주호영 의원도 정·김 의원과의 단일화에 동참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이들은 '공천 개입 녹취록' 파문이나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 관련 논란 등 정국 이슈에 비슷한 입장을 보인 데 이어 최근 불거진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의 전대 출마론에 대해서도 "혁신의 흐름을 저지하려는 움직임"이라며 "혁신의 흐름을 관철하기 위해 공동으로 뜻을 모으고 행동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주 의원은 2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일단 김 전 지사 문제에 대해서만 공동 대응하겠다"면서도 "친박계가 특정 후보를 밀 경우 비박계도 단일화 압력이 커질 테고, 그때는 어떤 결정을 고민해야 할 것 같다"고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뒀다.

김 전 지사가 출마해도 비박계 단일화의 중심에 세우지는 않을 것이라고 이들은 입을 모았다.

김 전 지사의 출마 배경에 모종의 '의도'가 숨겨졌을 수 있다는 의구심을 보이는 데다, 그의 뒤늦은 출마가 '판도 흔들기'나 '숟가락 얹기'에 불과하다는 인식에서다.

정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에 나와 김 전 지사 출마에 '공동 대응'을 하겠다는 입장이 "세 사람이 하나로 뭉칠 수도 있다는 뜻"이라며 "(김 전 지사는) 단일화 논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그러나 막상 이들 중에서 누구를 옹립할지를 놓고 후보들의 셈법은 제각각이다.

김 의원은 정 의원에게 "선수(選數)와 나이를 배제하고 단일화 방법을 찾자"고 했으나, 정 의원은 이에 뚜렷한 답변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나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의 중재도 아직 본격화하지 않은 상황이다.

친박계 진영에선 중도로 분류되는 이주영 의원까지 포함한 후보 단일화를 모색 중이다.

일각에선 김 전 지사가 출마할 경우 그를 '친박 후보'로 간주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일단 이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계파 대결 구도로 가면 새누리당은 망한다"며 계파별 후보 단일화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그러면서도 정 의원이나 김 의원 등 비박계 후보와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선 "대결 구도를 벗어나 화합하는 거라면 가능할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의원은 김 전 지사 출마론에 대해선 "누구든 자유롭게 출마할 수 있지만, 다소 의외라거나 적절치 않다는 반응이 많은 것 같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친박계 후보 단일화에 변수는 홍문종 의원이다.

홍 의원이 출마할 경우 이 의원에 대한 친박계의 지지가 일부 이탈하면서 '교통정리'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친박계 '큰형님'인 서청원 의원 주재로 오는 27일 열리는 대규모 만찬 회동이 분수령이다.

한 친박계 의원은 "여러 사정상 홍 의원이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본 반면, 다른 친박계 의원은 "홍 의원 본인의 의지가 강해 이 의원과 컷오프(예비경선) 이후 단일화가 모색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일각에선 '정병국-주호영-김용태'와 '이주영-홍문종-이정현'처럼 계파 대립각이 날카로운 단일화 구도 대신 탈계파 구도로 단일화가 추진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일례로 경기도에 기반을 둔 정 의원과 홍 의원은 최근 단일화 가능성을 원론적인 수준에서 타진했지만, 서로 "나를 밀어달라"는 견해차만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표 선거 기탁금이 1억원으로 만만치 않은 액수라는 점에서 후보등록일이 임박할수록 물밑의 합종연횡 움직임은 한층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zhe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