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고도서 핵탄두 폭발장치 동작특성 검열"…한미 군사시설 핵타격 훈련 시사
美 증원전력 타격의도 드러내…北매체 "사거리 제한해 탄도로케트 발사"
김정은 발사 참관, 다음 훈련 명령…北 미사일 발사 등 추가 도발할 듯
軍, 합참의장 주재로 긴급 화상 작전지휘관 회의…"北, 전략적 도발 가능성"

북한은 19일 스커드와 노동미사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한 것에 대해 유사시 남한으로 전개되는 미군 증원전력을 선제타격하기 위한 훈련이었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과 조선중앙방송은 20일 "조선인민군 전략군 화성포병부대들의 탄도로케트(탄도미사일) 발사훈련이 진행됐다"면서 "이번 발사훈련은 미제의 핵전쟁장비들이 투입되는 남조선 작전지대안의 항구, 비행장들을 선제타격하는 것을 모의하여(목표로) 사거리를 제한하고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전날 스커드-C(화성-6호) 2발과 노동미사일(화성-7호) 1발을 발사한 것은 유사시 경북 포항과 부산항, 김해공항 등으로 들어오는 미군 증원전력을 선제타격하는 훈련이었다는 것이다.

한미는 한반도에 전쟁 발발 징후가 있으면 미국 본토와 주일미군 기지에 있는 증원전력을 이들 항구와 공항으로 단계적으로 투입하도록 작전계획에 명시했다.

아울러 북한은 주한미군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될 성주에 대한 타격도 염두에 두고 훈련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최대 사거리 700㎞인 스커드-C와 1천300㎞의 노동미사일을 전날 발사에서 500~600㎞까지만 비행하도록 한 것에 대해 "사거리를 제한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미사일을 85도 이상의 높은 각도로 발사해 대기권 이상으로 쏘아 올리는 방식으로 남한 후방지역을 타격할 수 있도록 최대 비행거리를 줄였다는 뜻이다.

북한은 지난달 22일 무수단(화성-10) 중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했을 때도 "최대 사거리를 모의하여 고각발사체제로 진행됐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당시 이 미사일은 최대정점 고도 1천400여㎞로 올라간 다음 하강해 400㎞를 비행했다.

무수단의 사거리는 3천~4천㎞에 달한다.

이어 북한 매체는 "(이번 발사가) 목표지역의 설정된 고도에서 탄도로케트에 장착한 핵탄두 폭발조종장치(기폭장치)의 동작 특성을 다시한번 검열(점검)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탄도미사일이 최정점 고도에서 하강해 고도 40여㎞ 상공에서 핵폭탄을 폭발시키는 방식을 적용했다는 의미로, 이번 훈련이 한국군과 주한미군의 주요 군사시설을 핵탄두 탑재 미사일로 타격하기 위한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날 발사한 북한의 미사일은 고도 150㎞ 이상으로 상승했다가 하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1발은 정상궤도를 비행하지 않아 공중에서 폭발한 것으로 추정됐다.

조선중앙방송 이날 인민군 전략군 화성포병부대가 "남조선주둔 미제침략군기지들을 타격할 임무를 맡고 있다"고 보도함으로써 전략군 예하에 편제된 스커드와 노동미사일 부대의 임무를 명확히 설명했다.

이번 미사일 발사훈련을 참관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전략군 화성포병들은 그 어떤 불의의 명령에도 철저히 준비되여있을뿐 아니라 기동력이나 타격력에 있어서 언제 봐도 정확하고 치밀하다"고 평가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김정은은 인민군 전략군사령관인 김락겸 대장을 비롯한 핵무기 연구부문의 과학자와 기술자, 지휘관들과 함께 발사장을 돌아보며 '다음 훈련을 시작할 데 대한 명령을 내렸다'고 방송은 전해 미사일 추가 발사를 시사했다.

이번 김정은의 훈련 참관에는 리만건, 리병철, 홍승무, 김정식 등 노동당 중앙위원회 간부들이 동행했으며, 김락겸 전략군 대장과 정치위원인 박영래 전략군 중장이 이들을 맞았다고 중앙방송은 설명했다.

한편 군 당국은 북한이 추가적인 탄도미사일 발사훈련을 강력히 시사한 데 이어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 제5차 핵실험 등 전략적인 도발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이날 오후 이순진 합참의장 주관으로 육·해·공군 작전사령부와 서북도서방위사령부, 합동부대 지휘관들이 참가한 긴급 작전지휘관 회의를 화상으로 개최했다.

북한의 5차 핵실험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의 북쪽 갱도에서 토사물을 실어나르는 대형 트럭과 인력을 비롯한 계측장비 형태 등의 물체를 운반하는 등의 활발한 모습이 지속적으로 관측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홍국기 기자 redfla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