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북한경제리뷰 6월호 발간

북한에서도 사상 교육보다 교과 공부를 더 중시하고 진학을 위한 과외활동도 활발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정원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13일 '한국개발연구원(KDI) 북한경제리뷰 6월호'에 발표된 논문에서 "무상과 평등을 기반으로 하는 북한 교육의 공적 목표와 실제 관행은 다른 것으로 보인다"며 "개인 소유의 돈이 공적인 학교 제도에 영향을 주는 등 북한교육에서 시장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북한 교육의 공적 목표는 무상·평등을 기반으로 하는 사상 교육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논문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유치원 시절부터 부모의 경제적 능력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북한 유치원은 낮은반과 높은반으로 구성되는데, 시설 환경이 좋고 아이들이 특기를 잘 기를 수 있는 유치원을 가려면 부모의 재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소학교 교육 목표는 다음 단계인 제1중 진학이 됐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부모들은 사상교육보다 국어, 수학 교육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부모들은 자녀들을 과외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교육 기회의 격차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제1중에 가면 부모들의 목표는 대학 입학으로 바뀐다.

자녀가 대학 입학시험 응시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부모의 사교육과 뇌물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북한에서 대학 진학은 사회에서 인정받고 개인의 힘을 기르고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법이 된다고 김 선임연구위원은 설명했다.

학생들은 전문 직업을 갖거나 간부가 되기 위해, 남학생은 군복무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진학하기도 한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통일을 대비해 공식 문서에 나타난 북한의 교육제도뿐만 아니라 북한 교육의 실상에 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porqu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