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소야대·3당체제여서 어느 때보다 협상구도 복잡
더민주 5∼6선들 국회의장 자리 놓고 벌써 물밑경쟁
與 율사 출신 3선들 법사위원장 물망…여야 "속단하긴 일러"


새누리당 정진석,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11일 오후 국회에서 회동을 갖는다.

최근 각 당의 원내사령탑으로 각각 선출된 이후 처음으로 마주앉는 3당 대표는 이날 회동에서 20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과 상임위원회 배분 등 원(院) 구성 문제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에따라 여야 3당간 원구성 협상이 본격 막이 오른 셈이다.

4·13 총선 결과 여당인 새누리당이 122석으로 원내 제2당으로 전락했고, 야당인 더민주가 123석으로 원내 제1당에 등극했으며, 제3당인 국민의당이 38석을 차지하면서 여소야대(與小野大) 구도가 됨에 따라 이번 원 구성 협상은 과거 어느 때보다 복잡해졌다.

일단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유승민 의원 등 이른바 '탈당파 당선인'들의 복당 문제와 관련, 지난 9일 "20대 국회 원구성 협상 전에 복당은 없다"고 선을 그어 새누리당이 원내 제1당의 지위를 회복해 협상할 가능성은 적어졌다.

이로 인해 입법부 수장인 국회의장 자리는 관례에 따라 원내 제1당인 더민주가 맡는 데 힘이 실리게 됐다.

더민주 역시 총선에서 드러난 민의를 반영해 자당 출신이 국회의장을 맡는 게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벌써 문희상·이석현·정세균 6선 당선인과 박병석·원혜영 5선 당선인이 물밑에서 국회의장 자리를 놓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지난 16대 국회 후반기(2002년 7월8일∼2004년 5월29일)의 박관용 의장 이후 14년 만에 야당 출신 국회의장이 탄생하게 된다.

당시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으로 16대 국회 전반기는 여당인 새천년민주당 출신의 이만섭 의장이 선출됐지만, 이후 DJP 연합 와해로 원내 제1당이면서 야당인 한나라당 출신의 박 의장이 후반기 의장으로 선출됐다.

17대 국회 후반기(2006년 6월19일∼2008년 5월29일)의 임채정 의장은 선출될 때는 여당(열린우리당) 소속이었으나 2007년 대선 결과에 따라 야당 출신으로 바뀐 경우다.

야당 출신 의장이 나오면 여야가 나눠 맡는 부의장은 새누리당과 국민의당이 1명씩 나눠 가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새누리당에선 심재철(5선)·김정훈 이군현(4선) 당선인이 국회 부의장에 도전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국민의당은 박주선 조배숙(4선) 당선인이 부의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다만 더민주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원 구성은 모든 것을 다 테이블에 올려놓고 패키지로 검토할 사안이지, 한두 자리만 놓고 협상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며 의장단 인선을 기정사실화하는 건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이는 의장단 인선이 상임위원장 배분 협상과도 맞물리기 때문이다.

특히 모든 상임위에서 올라온 법안을 본회의로 넘기는 '마지막 관문'인 법제사법위원장이 관건이다.

현재로선 더민주가 국회의장을 맡을 경우 법사위원장은 제2당인 새누리당이 맡는 형태가 유력시된다.

실제로 여야 협상의 '캐스팅보터'인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날 BBS 라디오에 나와 "국회의장을 맡는 당과는 다른 당(출신)이 법사위원장을 맡아야 된다는 생각"이라며 '견제와 균형'을 위해 더민주 출신 국회의장, 새누리당 소속 법사위원장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에선 검사 출신의 권성동 3선 당선인이 법사위원장 후보로 강력히 떠오르고 있으며 판사 출신인 여상규·홍일표 3선 당선인도 법사위원장 후보군으로 꼽힌다.

새누리당이 법사위원장을 가져갈 경우 운영위나 국토교통위, 교육문화체육관광위 등 이른바 '핵심 상임위'의 위원장 자리를 다시 야당에 양보하라는 요구에 직면하는 게 부담이다.

새누리당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KBS 라디오에 나와 "국회의장은 더민주가 하고 법사위원장은 새누리당이 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히지 않느냐는 보도가 좀 있던데, (3당 원내지도부 사이에) 그렇게 얘기가 된 것은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일단 여야 원내지도부는 국회법에 따라 다음 달 7일까지 의장단을 선출하고, 같은 달 9일까지 상임위원장들을 선출해 법정 기한을 지키자는 원칙에만 합의한 상태다.

그러나 교문위 등 일부 상임위의 분할 문제, 상임위별 정원 조정 문제 등 다양한 문제를 함께 풀어야 해 원 구성 협상은 한동안 진통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김동현 기자 zheng@yna.co.kr